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상의 마이크로블로그
(아래 내용은 inuit님의 블로그 글인 'Twitter semantics (1): 왜 트위터는 어려운가?'를 참조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요즘 소셜 커뮤니케이션 툴인 마이크로블로그가 무척 많이 회자되고 있다.
마이크로블로그인 트위터에 계정을 만들고 사용하고 있지만, 아직은 익숙하지 않아 사용하기 어색하다.
사실 마이크로블로그는 국내에서 미투데이, 플레이톡, 토시 등의 사이트가 나타난 2007년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외국에서는 트위터가 대표적이다.
마이크로블로그는 140자 이내로 짧은 글을 올리는 블로그이다. 올라간 글은 다른 사람들과 공유가 가능하다. 마이크로블로그의 가장 큰 장점은 가볍다는 것이다. 블로그는 하나의 주제에 대해 일정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여 논리적인 글을 작성해야 하지만, 마이크로블로그는 순간 떠오르는 간단한 생각, 느낌 등을 메모처럼 가볍게 쓰고 저장하여, 불특정 다수로부터 의견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간결함과 편리성을 갖고 있다.
그러면 왜 마이크로블로그가 이렇게 인기를 끌고 있을까? 단순히 오바마, 오프라 윈프리, 김연아 등 유명인들이 많이 가입되어 있어서 일까? 그 해답을 찾기 위해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에서 마이크로블로그가 어떤 위치에 있는지부터 살펴 보도록 하자.
아래 그림은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을 대칭성(Symmetry)과 동시성(Synchronicity)를 두 축으로 나눈 그림이다.
- 동시성(Synchronicity): 실시간(Real time) 대화인지 여부 (동기/비동기)
- 대칭성(Symmetry): 1대1 대화인가, 아니면 불특정 다수와 대화인지 여부.
1. 동기/대칭: 가장 실시간적이고 대칭적(1:1)인 것은 채팅이다.
2. 비동기/대칭: 가장 비동기적이고 대칭적(1:1)인 것은 메일이다.
3. 비동기/비대칭: 비동기적이면서 비대칭적(불특정 다수)인 것의 대표 주자는 블로그이다.
유명 블로거가 아닌 이상 커뮤니케이션이 실시간으로 일어날 수는 없다.
4. 동기/비대칭: 그러면 동기적이면서 비대칭적인 서비스(불특정 다수를 위한 실시간형 서비스)는 무엇일까?
그 답은 바로 마이크로블로그이다.
즉, 마이크로블로그는 위의 그림에서처럼 플랫폼 상의 빈 구석(불특정 다수를 위한 실시간 서비스)을 채워주는 최초의 서비스라고 볼 수 있다.
이렇기 때문에 사람들의 호기심을 끌어, 많은 관심을 갖게 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으로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이기 때문에 처음 사용하기에 다소 어려워하는 것 같다.
향후에는 불특정 다수를 위한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서비스가 더 출현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때는 마이크로블로그와 유사한 것들이 더 대중화되어 더욱 쉽게 편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가 복잡해지고 다양화되면서 사람간 커뮤니케이션도 더 세분화 되는 것 같다. 그렇지만 개인적으로는 face-to-face 대화가 아직은 더 인간적인 채널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파이어폭스, 오페라, 사파리, IE, 크롬 브라우저 차이점에 관한 재미있는 글
파이어폭스, 오페라, 사파리, IE, 크롬 브라우저 차이점을 재미있게 표현한 글이다.
Firefox :
Fairly well-reounded, but nearly unusable because of all its stupid add-ons.
균형이 잘 잡혔지만 너무 많은 추가 기능때문에 거의 사용 불가능하다.
Safari :
While very efficient, its quality is vastly exaggerated by the people that use it.
아주 효율적인 반면 사용자에 의해 성능이 과장되어 있다.
Internet Explorer :
Worthless, but goog for the occasional bashing.
쓸모없지만, 가끔 비난하기에는 좋다.
Opera :
Some people really love it, everyone else just thinks it looks f*cking stupid.
어떤 사람들은 아주 좋아하지만 다른 다람들은 완전 별로라고 생각한다.
Chrome :
Very fast. That's about it.
엄청 빠르다. 하지만 그게 다이다.
원문 : 파이어폭스, 오프라, 익스플로어, 사파리의 차이점
블로그 | SNS | 위키 | UCC | 마이크로블로그 | |
사용목적 | 정보공유 | - 관계형성 - 엔터테인먼트 |
- 정보공유 - 협업에 의한 지식창조 |
엔터테인먼트 | - 관계형성 - 정보공유 |
주체 vs 대상 | 1:N | - 1:N - N:N |
N:N | 1:N | - 1:1 - 1:N |
채널다양성 | 인터넷의존적 | - 인터넷 환경 - 이동통신 환경 |
인터넷의존적 | 인터넷의존적 | - 인터넷 환경 - 이동통신 환경 |
즉시성 | - 사후 기록 - 인터넷 연결시에만 정보공유 |
- 사후기록, 현재시점 기록 - 인터넷/이동통신 연결시 정보공유 |
- 사후기록 - 인터넷 연결시 창작/공유 |
- 사후제작 - 인터넷 연결시 컨텐츠 공유 |
- 실시간 기록 - 이동통신/인터넷 연결시 공유 |
주요 컨텐츠 | - 특정주제에 대한 주관적 논평 - 신변잡기 정보 |
신변잡기 정보 | - 협업에 의해 창조된 지식 - 지속적/역동적 업데이트 |
- 특정주제에 대한 동영상 | - 현재상태, 개인적 감정(문자수 제한) |
신뢰성 | - 주관적 해석/비판 - 악의적 왜곡 가능성 낮음(블로거 평판 훼손 우려) |
- 악의적 왜곡 가능성 낮음 (실명 기반 네트워킹) | - 주관적 해석/비판 - 악의적 왜곡 가능성 낮음(IP주소 추적 가능) |
주관적 해석/창의성에 의한 컨텐츠의 희화화 등 왜곡 가능성 존재 | 정보 왜곡 위험성 존재(컨텐츠 생성 주체의 익명성) |
사례 | 개인 블로그 | 페이스북 마이스페이스 |
위키피디아 | 유튜브 | 트위터 |
[뉴스] 내가 원하는 정보 실시간 집결-'소셜 웹'이 세상 바꾼다.
사람들은 어디 있는가? - Where is Everyone?
비지니스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트위터 활용시 고려사항
트위터를 활용하는 기업
트위터가 갖는 비지니스 커뮤니케이션 차원의 잇점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상의 마이크로 블로그 위치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 - PDA, PMP, UMPC
지난 어린이날 큰애 선물로 전자사전을 사주었다. 단순히 사전기능만 있는 줄 알았는데 MP3플레이어와 동영상 보기 기능까지 있었다. 점점 휴대용 단말기들의 경계가 무너지는 것 같다.
휴대용 정보 단말기로 대표적인 것들로 PDA, PMP, UMPC를 들 수 있다.
이 중 세상에 가장 먼저 나온 PDA는 Personal Digital Assistant의 약자로 무선 통신과 정보 처리 기능을 결합한 개인 휴대 기기이다. 개인 정보 처리기 또는 개인 휴대 통신 단말기라고도 한다. PDA에는 다음과 같은 기능이 있다.
- 개인의 일정 계획 등을 관리하는 비서와 같은 기능
- 전자 펜이나 필기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개인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
- 사전이나 매뉴얼 등을 내장하여 언제나 검색할 수 있는 참고 자료로서의 기능
- 이메일, 팩스, 무선 호출 및 휴대 전화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 기능
최초 PDA는 미국 애플사가 개발한 뉴턴이라는 제품이고, 국내는 1996년 하반기부터 제품이 출시되기 시작하였다.
PMP는 Portable Mulimedia Player 약어로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라고 한다. PMP는 언제 어디서나 비디오, 음악, 사진 등을 간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한 개념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이다. 디빅스(DivX) 영화와 같은 동영상 파일뿐 아니라 mp3 파일 등과 같은 음악 파일, 사진 이미지 파일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들을 보여주고 들려주는 기기로 국내는 2004년부터 본격적으로 출시되기 시작했다. 보통 손바닥에 올려 놓기 좋은 3.5인치 크기의 액정화면을 달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동영상플레이어는 크게 PMP(Portable Mulimedia Player)와 PMC(Portable Media Center) 그리고 PSP(PlayStation Portable)로 나뉜다. PMP는 운영체제를 리눅스로, PMC는 MS사의 운영체제를 채택하고 있다. PSP는 소니의 게임기인 플레이스테이션을 들고 다닐 수 있도록 만든 제품으로, 여기에도 동영상 재생 기능이 있다.
다음으로 휴대용 컴퓨터라고 말할 수 있는 UMPC이다. UMPC는 Ultra mobile PC로 노트북 컴퓨터보다 가볍고 작게 만들어 휴대하고 다니면서 PC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기기이다.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인터넷, 게임, 내비게이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어 컨버전스 단말기로 기존의 개인 정보 단말기(PDA)나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PMP)와 경쟁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졌다.
UMPC는 2008년 하반기부터 보급형 제품 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PMP의 경우는 HSDPA등 지원하는 통신형 제품이 출시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PDA는 엔터테인먼트 기능 등을 강화하여 휴대기기들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각 제품은 경쟁기기 장점을 받아들이고 있어 각 제품간 경계도 사라지고 있는 상태이다.
앞으로 가장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제품은 UMPC이다. PC에서 가능한 모든 기능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기기와 달리 소비자들이 제품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이 없다. 네트워크 기능이나 애플리케이션 경우에도 PC표준을 따르고 있으며, 기존 프로그램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점은 UMPC가 가지고 있는 큰 장점이다.
가까운 미래에는 3가지 제품이 모두 융합된 하나의 모습이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