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 논란, 내가 생각하는 3가지 쟁점
최근 삼성바이오로직스 관련 논란이 많다.
대부분 사람들이 인지하겠지만 3가지 정도가 쟁점이 되지 않을까 한다.
1. 삼성바이오에피스를 자회사에서 관계사로 변경
- 바이오에피스를 관계사로 변경함에 따라 장부가치에서 시장가치로 평가 가능하게 됨. 결국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적자에서 순이익이 나는 회사로 돌변
- 관계사로 변경한 근거는 미국 바이오젠이라는 회사가 갖고 있는 콜옵션. 콜옵션 행사시 경영권 확보가 불확실하다는게 그 근거. 아직 일어나지 않는 일을 근거로 관계사로 변경해버린 셈.
2. 삼성바이오에피스 가치 평가
- 바이오에피스를 5조원 넘는 가치로 평가함.
- '15년 당시 바이오에피스의 미래 가치를 보고 평가했다고 하나, 이후 내리 영업이익 적자를 기록하고 있음. ('15년 1611억원 적자, '16년 986억원 적자, '17년 1025억원 적자)
3. 코스피 상장기준 변경
- 당시 코스피 상장 기준이 '매출 100억원 이상 + 영업이익 30억원 이상' 또는 '시가총액 4천억원 이상 + 매출 2천억원 이상' 이었다고 함. 하지만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두가지 조건에 해당하지 않음.
- 이에 '시가총액 6천억원 + 자본금 2천억원' 이라는 삼성바이오로직스 맞춤형 기준이 추가됨. (이후 이 조건으로 상장된 회사는 없다고...)
비교적 삼성에 우호적이었던 지난 정부하에서 다소 무리하게 상장하지 않았나 싶다.
뭔가 자연스럽지 못한 것들은 결국 탈나게 되어 있다.
* 관련하여 좀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 링크 참조 (https://blog.naver.com/marketmagician/221266940600)
현명한 초보투자자, 기업가치 평가방법
현명한 초보투자자, 기업가치 평가방법
현명한 초보투자자(저자 야마구치요헤이)라는 책에 나오는 기업가치 평가방법입니다.
기업가치를 영업을 통해 벌어들이는 돈과 기업내부에 쌓아 놓은 돈으로 평가하는 방식입니다.
기업가치를 계산하는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예시는 풍산(
103140)의 2017.12 사업보고서 내용으로
계산해보았습니다.
1. '사업가치'를 평가한다.
- 사업가치는 영업이익의 10배로 계산합니다.
* 사업가치 = 189,974,413,953원('15~'17년 평균값) * 10배 = 1조 8997억원
제 10 기 |
제 9 기 |
제 8 기 |
|
영업이익(손실) |
241,068,224,146 |
217,800,764,150 |
111,054,253,564 |
2. '재산가치'를 평가한다.
- 재산가치는 유동자산 - (유동부채 * 1.2) + 투자자산으로 계산합니다.
* 재산가치 = 1조 4224억원 - (9864억원 * 1.2) + 102억원 = 2489억원
* 유동자산 = 1조 4224억원 ('17년)
제 10 기 |
제 9 기 |
제 8 기 |
|
자산 | |||
유동자산 |
1,422,437,958,579 |
1,380,701,365,976 |
1,278,486,007,800 |
* 유동부채 = 9864억원
('17년)
제 10 기 |
제 9 기 |
제 8 기 |
|
부채 | |||
유동부채 |
986,449,175,389 |
963,534,231,759 |
968,603,259,354 |
* 투자자산 = 102억원
('17년)
제 10 기 |
제 9 기 |
제 8 기 |
|
비유동자산 |
1,307,057,633,156 |
1,334,247,665,519 |
1,329,083,910,960 |
투자자산 |
10,247,908,291 |
9,733,391,525 |
8,866,178,411 |
장기금융상품 |
1,293,917,556 |
938,643,270 |
799,180,004 |
매도가능금융자산 |
8,447,936,685 |
8,391,502,594 |
7,206,201,285 |
공동기업투자주식 |
496,562,950 |
392,877,561 |
365,606,958 |
기타투자자산 |
9,491,100 |
10,368,100 |
495,190,164 |
3. 부채(빚:비유동부채)을 뺀다.
- 즉 기업의 가치는 사업가치 + 재산가치 - 부채로 계산합니다.
* 기업가치 = 사업가치 1조 8997억원 +2489억원 - 4339억원 = 1조 7147억원
* 비유동부채 : 4339억원
제 10 기 |
제 9 기 |
제 8 기 |
|
비유동부채 |
433,912,022,615 |
516,572,191,464 |
545,972,286,209 |
4. 기업가치를 발행 주식수로 나누면 1주의 가치가 산출된다.
- 계산된 1주의 가치를 현재 주가와 비교하면 매수, 매도여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 주당 가치 = 1조 7147억원 / 28,024,278주 = 61,186원
* 발행주식 총수
Ⅳ. 발행주식의 총수 (Ⅱ-Ⅲ) |
28,024,278 |
28,024,278 |
최근 풍산 주가가 37.000 ~ 40,000 사이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위 방식으로 계산한 61,186원 대비 많이 낮은 가격입니다. 매수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만 투자는 다른 요소들을 추가 고려하여 신중히 결정해야 것 같습니다.
* 더 상세한 내용 및 기업가치 평가법이 구현된 엑셀파일은 다음의 링크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http://www.itooza.com/common/iview.php?no=2009042911480995744)
박근혜 대통령 탄핵을 보며
박근혜 대통령이 결국 탄핵되었다.
4년전 그 분이 대통령에 당선되었을 때 과연 보통 사람들이 갖고 있는 상식과 동일한 상식이 있을까 하는 걱정이 앞섰다.
대통령의 딸로서 학창생활을 보냈을 것이고 한나라의 영부인으로서 젊은 시절을 보냈을 것이다.
그런 사람이 동급생들과 치열하게 경쟁해야만 하는 현실을 알까.
한 가족을 이루고 그 가정을 책임지기 위해 세상 사람들과 부딪끼며 살아 가야만 하는 현실을 알까.
아이들을 낳고 기르면서 때로는 기뻐하고 때로는 아파하고 좌절해야 하는 현실을 알까 하는 걱정이 앞섰다.
사람은 자아를 형성해 왔던 환경에 지배를 받는가 보다.
주위 사람으로부터 섬김만을 받아 온 환경, 자신의 말이면 그 어느 누구 반박하지 못하는 환경
그런 환경이 소통하지 못하고 자기 생각에만 갇혀 있는 대통령을 만들었고 그 결과로 오늘 탄핵이 되었나 싶다.
이제는 남의 말을 귀담아 듣고 존중하는 대통령이 나왔으면 한다.
또한 자기와 생각이 다르다고 무조건 상대를 배척하고 적대시하는 말이나 행동을 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리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고 반대 의견을 무조건 적대시 하지 않는 것은 우리와 같은 일반 시민에게도 해당될 것이다.
보수나 진보라는 진영 논리를 떠나 상식이 통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탄핵이 불가피한 선택이었지만 이 방법밖에는 없었나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지난주 성당 신부님 강론 주제가 '유혹'이었다.
유혹은 다음 네가지 말로 시작된다고 한다.
- 남들도 다 그래
다른 사람도 다 그런다고 해서 법이나 규칙, 규범을 어기는 경우를 말한다. 또한 군중 심리에 휩쓸려 상식에서 벗어난 행동을 하는 경우도 해당할 것이다.
- 나 하나 쯤이야
첫번째와 비슷한 것 같지만 약간 뉘양스는 다른 듯 하다. 나 혼자 다른 사람 몰래 쓸쩍 잘못을 하는 경우라 할까.
- 다음에 하지 뭐
귀찮아서 게으름 피우는 경우이다. 바빠서 피곤해서 등으로 이유를 둘러대지만 결국 하기 싫은 마음 탓일 것이다.
- 딱 이번 한번만
중독성 있는 것을 끊지 못하고 이번이 마지막이라는 말을 항상 달고 다니는 경우이다.
이러한 유혹을 이기는 방법은 두가지 라고 한다.
- 하고 싶지만 해서는 안되는 일을 하지 않는 것
내가 하고 싶다고 남이야 어떻게 되든 다 하고 살 수는 없지 않는가. 상식에서 벗어나지 않고 같이 더불어 살아가라는 말씀으로 이해한다.
- 해야 하지만 귀찮고 어려운 일을 하는 것
사람으로서 해야 하는 일에 게을러지지 말라는 말씀이다.
국가와 민족을 위해 사익을 추구하지 않았다고 자신을 합리화하는 분 때문에 요즘 나라가 시끄럽다.
이런 시기엔 네가지 유혹의 말에 더 끌릴 수 있을 것 같다. 해서는 안되는 일을 하지 않고, 해야 할 일을 하는 것이 중요할 듯 하다.
배려 에피소드2 - 내가 안다는 것
배려 에피소드2 - 내가 안다고 해서 남들도 안다는 보장은 없다.
회사 출퇴근하면서 2호선을 매일 이용한다.
가끔 이 열차는 외선순환열차라는 안내방송이 나온다. 또한 내선순환이라는 단어도 안내방송에서 들어 본 듯 하다.
여기서 궁금하다. 외선순환, 내선순환이라는 말이 무슨 말일까?
그래서 찾아 보았다. 역시 남들도 궁금했나 보다.
서울에서 지하철을 타고 다니다 보면 항상 궁금하던 내용이 있다.
바로 “내선순환”과 “외선순환”의 차이.
특히 2호선을 탈 때면 외선순환이라는 말과 내선순환이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된다.
‘도대체 외선순환은 뭐고, 내선순환은 뭐지?’
항상 궁금했는데.. 화장실에 가 보니 정답이 붙어 있었다.
1. 내선순환은 시계방향으로 운행하는 열차
2. 외선순환은 반시계 방향으로 운행하는 열차
출처 : 차도리닷컴 (http://www.chadorri.com/?p=11195)
그렇지만 안밖이라는 개념은 방향과는 전혀 다른 개념이어서 내선, 외선순환과 시계, 반시계방향이 바로 와 닿지 않는다.
지하철 직접 운행하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많이 사용해 봐서 의미를 알고 있는 용어이겠지만 내가 안다고 해서 남들도 안다는 보장은 없다.
본인 업계에 통용되는 단어보다 상대방이 모른다는 가정하에 일반적인 용어를 사용해서 설명하는 것이 배려라고 본다.
내선순환, 외선순환 대신 아예 몇군데를 정해 어디 어디 어디를 순환하는 열차입니다라고 방송하면 더 쉽지 않을까 한다.
배려 에피소드1 - 나에게 익숙한 것
배려 에피소드1 - 나에게 익숙한 것이 남들도 익숙하다는 보장은 없다.
직장내 친한 후배가 있었다.
같은 동향 출신이고 일도 깔끔하게 잘해 늘 마음에 두고 있던 친구이다. 이 후배와 몇번 치맥하는 자리가 있었는데 그 때마다 선배 챙겨준답시고 닭다리를 먼저 챙겨주었다. 하지만 사실 난 닭다리 보다 소위 퍽퍽살이라고 부르는 가슴살 부위를 좋아한다.
본인이 가슴살 부위를 먹으려고 일부러 그렇게 하나 라고 오해 아니 오해를 해 본적도 있었지만 그 친구 본심은 그것이 아닌 선배에 대한 배려였으리라 생각한다.
내 입맛에 익숙한 것이라고 해서 남들 입맛에도 익숙하리라는 보장은 없다.
오히려 상대방에게 선택권을 먼저 주는 것이 배려라고 본다.
지수형 ELS 낙인(Knock-In)을 경험하며
지수형 ELS 낙인(Knock-In)을 경험하며
홍콩 H지수가 반년새 반토막이 났다는 기사이다.
덕분에 작년 4월 ~ 5월 사이에 가입했던 지수형 ELS가 금주들어 낙인되었다.
홍콩 H지수 반년새 반토막.. ELS 원금손실 공포
어제 7년만에 장중 8000선 붕괴 7000선 이하로 내려가면 ELS상품 원금 손실 8조원 예상 작년 증시 활황때 '쏠림 현상', 급락장에선 '毒杯'나 다름 없어 증권사 "저점이 투자 적기" 주장조선비즈 안준용 기자 입력 2016.01.21. 03:09
낙인된 ELS 가입 당시 H지수는 14,000대 후반이었고 가입한 ELS의 낙인은 55%로 8,000대 초반이었다. 그런데 이번주 들어 H지수가 8,000 ~ 8,100에 마감함에 따라 원금손실 발생기준가격(KI)에 걸린 것이다.
ELS를 알고 투자한지 몇년 되었고 그동안 종목형 ELS에서 OCI로 인한 낙인 경험과
금/은 DLS에서 은가격으로 인한 낙인 경험이 있다. (두번 모두 절반도 못 건졌다.)
두번의 낙인 경험으로 종목형 ELS와 DLS는 아예 처다도 보지 않고 지수형 ELS만 가입해 왔는데 이번엔 지수형 ELS에서도 낙인을 경험한 것이다.
작년 4월부터 손증모(손실을 증오하는 사람들의 모임) 네이버 카페 방장인 '부자총각(부총)'님은 H지수 14,000대는 위험하니 ELS 가입을 자제해달라는 권고도 했었다.그러나 설마 반토막 나겠어 하는 마음에 가입했던 것이 현실로 나타났다.
앞으로 어떻게 할까.
우선 헷지 차원에서 ETF(Kodex China H)를 가입 금액과 동일한 수준으로 매입해야 겠다. 그리고 언제가 될지 모르지만 홍콩 H지수가 14,000대 도달하면 매입한 ETF를 매도해야 겠다.
투자에 따른 손실은 결국 본인의 책임이다.
국제유가 하락, 그럼 기름값은?
국제유가 하락, 그럼 기름값은?
몇년 전 만해도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가 넘었던 기억이 난다. 요즘은 30달러대라고 하니 많이 가격이 떨어진 셈이다.
국제유가, 장중 한때 12년 만에 최저치 하락
배럴당 100달러때 휘발유 가격이 리터당 2,000원 가까이 되었었고 현재 원유 가격은 당시 보다 30% 가격이므로 휘발유 가격이 단순 계산으로 2천원의 30%인 600원이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오늘 아침 버스안에서 바라 본 주유소 휘발유 가격은 1,300원대 였다. 이 가격이 나오게 된 이유는 세금이다.
한국석유공사 오피넷에서 발표하는 국내 석유제품 가격동향 자료를 보면 '15년 12월 5주 기준으로 휘발유 가격 1,411.7원의 62%인 874.7원이 세금이다. 그리고 정유사 가격(출고 가격)이 31%인 437.4원, 유통비용, 마진 등이 7%인 99.7원이다.
결국 세금인 874.7원 + 유통비용,마진인 99.7원, 약 1,000원 가까운 돈이 국제유가 하락과는 아무 관련이 없는 비용이다.
자. 이제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에서 30달러대로 내려간 경우 다시 계산해 보자.
- 2천원 - 건드릴수 없는 돈 1,000원 = 1,000원
- 남은 1,000원 X 30%= 300원
- 결국 휘발유가격은 1000원 + 300원 = 1,300원
딱 맞다. 설령 국제유가가 공짜여도 국내 휘발유 가격은 1,000원 언저리까지 밖에 내려가지 않는다. 대한민국 국민으로서는 국제유가 하락의 수혜를 절반 밖에 누리지 못하고 납세의 의무를 충실히 수행하는 수 밖엔 없을 듯 하다.
그러면 국제유가와 무관하게 고스란히 세금만 챙겨가는 국가는 현재 국민에게 어떤 혜택을 주고 있는가 자문해 본다.
엄마부대, 이들은 또 누구인가?
엄마부대, 이들은 또 누구인가?
최근 일본정부와 합의된 위안부 협상때문에 온 나라가 시끄럽다. 아쉬운 점이 많고 한국 정부가 이 정도 수준으로 밖에 협상할 수 없었나 하는 절망감도 든다.
그렇지만 다른 생각을 갖고 있는 사람도 있는 듯 하다.
엄마부대는 "위안부 문제는 과거 한국이 힘이 없을 때 발생한 사건이고, 국력이 그만큼 강해졌기 ... |
“위안부 문제는 과거 한국이 힘이 없을 때 발생한 사건이고, 국력이 그만큼 강해졌기 때문에 이번 합의도 이끌어낼 수 있었던 것”
“한국이 더 강한 나라가 될 수 있도록 위안부 할머니들이 희생해달라”
“내 아버지 또한 강제징용으로 끌려갔다. 국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꼈다”
“이번 합의를 통해 한일 양국의 경제 협력이 강화돼 한국이 힘을 키우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이런 말을 하는 사람에게 경제 논리면 모든 것이 해결되는가 라고 물어 보고 싶다.
내 딸들을, 내 누이들을 짓밟은 일본인들이 경제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면 용서해 줘도 된다는 논리는 과연 무엇인가?
일본인에 당한 수많은 역사를 그 누구보다도 각인하고 있어야 할 한국인으로서 과연 할 소리인가?
엄마부대, 그들은 과연 한국사람 들인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실망스럽다.
최근 일본 정부와 한국 정부간 위안부 협상이 타결되었다.
개인적으로 일본과 한국간 협상 타결이라고 부르고 싶지 않다. 양국 정부는 국민을 대표하는 기관으로 볼 수 있지만 양국 국민들의 충분한 의견 수렴 절차를 거친 합의라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이 와중에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께서 올바른 용단이라고 대통령을 치켜 세웠다. 그분이 유엔 사무총장 자격으로서나 한국인으로서나 올바른 용단이라고 말 할 수 있을까?
일본이 아직 전범으로서 죄를 인정하지 않고 있는 상황임에도 백번 양보해 유엔 사무총장으로서 한일 양국간 긴장 완화 측면의 발언으로 일견 이해해야 하나 의문이다.
하지만 그분은 한국인이며 한국 남자이다. 본인과 같은 한국 남자들이 나라를 지키지 못해 한국 여성들이 위안부라는 미명하에 다른 나라 그것도 일본 남자들에게 짓밟힌 치욕을 겪은 것이다.
이러한 역사를 자초한 한국 남자로서 부끄러운 줄 알아야지 어떻게 올바른 용단이라는 말이 나오는가!
한국인 최초로 유엔 사무총장도 되었고 차기 대통령 후보로도 거론되고 해서 호감을 가졌었는데 개인적으로 반기문 총장이 실망스럽다.
관련하여 아래 블로그 글도 일독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