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승미소님의 베트남 경제 전망
상승미소 베트남 경제 전망
상승미소님의 베트남 경제 전망 관련 동영상입니다.
어느 한 나라의 투자 여건을 판단할 때 경제 성장율, 무역수지 흑자여부, 외환보유고, 국제 역학관계, 인구 구조 측면에서 봐야 한다고 합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기준으로 보면 베트남은 향후 20 ~ 30년간 계속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경제 성장율
. 베트남의 2016년 GDP는 2010년 대비 두배 성장했으며 2016년 이후 매년 6% 성장을 하고 있음
. 특히 공업과 건설부분은 최근 9% 성장하고 있어 차근 차근 성장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음
- 무역수지 흑자여부
. 2015년 외환보유고 증가가 마이너스로 되었으나 2016년 이후 3년 동안 무역수지 흑자로 인해 외환보유고 증가가 플러스로 유지하고 있음
. 해외 자본이 계속 들어오고 있어(즉 자본수지 흑자로 인해) 투자환경이 좋아지고 있음
- 외환 보유고
. 현재 베트남 동화의 달러당 환율은 현재 23,000동으로 충분히 평가절하되어 있고 외환보유고는 GDP 대비 25% 수준이고 대외부채는 GDP 대비 26%로 상당히 안정적임
. 외환 보유고가 늘어남에 따라 현재 6.25%인 기준금리를 더 낮출 수 있고 이로 인한 자산시장 활성화가 예상됨
- 국제 역학관계
. 2017년 대미 무역흑자는 338억달러로(우리나라는 229억 달러) 대미 무역흑자국 중 5위에 위치하고 있지만 미국과 무역분쟁이 없음
. 그 이유는 미국이 중국을 견재하기 위해 베트남을 키우고 있기 때문임 (마치 공산주의 확산에 맞서 미국이 우리나라를 키웠듯이)
- 인구 구조
. 2017년 기준 베트남 인구는 9천5백만명으로 내수시장 규모로 충분하고 주축 인구가 20세~34세임(전체 인구의 26.4%)
. 이러한 인구가 40대가 될 때까지 경제는 계속 성장할 것임
. 한국의 경우 주축 인구는 40대 후반에서 50대인 것과 비교하면 베트남은 한국의 약 30년 전으로 보면 됨
. 즉 현재 베트남에 투자하는 것은 1988년경 한국에 투자하는 것과 다를바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