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창한 하늘 아래

ELS 투자는 개별종목을 기초자산으로 한 상품보다는 지수 기준 상품이 좀 더 안정적이라는 기사 마지막 내용을 기억해야 겠습니다. 


--------------------------------------------------------------------------------------


[ELS의 그림자③] 금융당국·업계 '규제' 필요, 2010년 06월 02일 (수) 10:27   뉴스핌


[뉴스핌] ELS(주가연계증권) 발행규모가 사상 최대인 2조원을 넘어설 정도로 급속히 팽창하고 있다. 


시중 풍부한 유동자금이 저금리, 부동산시장 침체 영향으로 상대적으로 고수익 저위험 투자상품인 ELS로 모이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잊을만하면 터져나오는 ELS 관련 사고가 투자자들의 신뢰를 떨어뜨리고 있다. 


이에 온라인 종합경제미디어인 뉴스핌은 ELS의 운용방식과 사고가 발생하는 이유 그리고 관계당국의 감독 방향 등을 알아봤다. <편집자> 


[뉴스핌=박민선 변명섭 기자] '조작'이라는 '검은 유혹'을 뿌리뽑기 위해 필요한 건 결국 '규제'와 '감시'다.


자율과 경쟁을 통한 질서유지와 경쟁력 확보가 자본시장의 기본 원칙이지만 시장을 곪게 하는 '폐단' 앞에서 때로는 과감한 규제도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금융위원회에서도 ELS로 인한 투자자들의 피해가 끊이지 않자 지난해 9월 이미 이와 관련된 제도 개선안을 내놓았다.


우선 가장 많은 부정행위가 일어나는 '만기일 주가 조작'과 관련한 손실을 막기 위한 조치다. 기초자산에 따라 만기시 수익 지급조건을 만기 이전 3일 이상 종가 평균, 또는 만기일 거래량의 가중편균가격을 사용하도록 했다.


또 백투백 헤지시 ELS 발행사의 의무를 강화하고 운용지침을 마련하도록 하는 방안도 함께 보완됐다.


일단 금융감독원에서는 이러한 보완책 등이 마련되면서 인위적인 주가 조작 등의 부정 행위가 기존보다 감소했다고 판단하고 있다.


실제 현재까지 문제가 되고 있는 ELS는 코스피지수가 2000대에서 1000선까지 떨어졌던 시기에 일어난 사례들이 다수를 차지한다. 즉, 지난해 이후 분쟁 사례는 많지 않다.


금감원 관계자는 "헤지행위 등에 대해서는 상시 감시하고 있기 때문에 꾸준한 관리가 이뤄지고 있다"며 "과거의 오류들을 바탕으로 부정행위를 최소화하는 기준으로 꾸준히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 금융위원회는 조만간 제도 개선안을 어느 정도 충실히 이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점검도 실시함으로써 추가 개선 등도 고려하고 있다.


이달중 ELS 상품별로 고객들이 손실을 입은 상품들에 대해 파악하고, 7~8월 중에는 본격적으로 종합점검을 통해 동향을 파악하는 순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 "변동성 감안...지수위주 상품으로"


업계에서도 ELS가 투자자들의 신뢰를 상실하고 있다는 데 대해 우려를 같이 하고 있다.


ELS가 저금리 시대에 각광받을 수 있는 유망 투자처임에도 불구하고 일부의 부정행위로 인해 성장 가능성이 위축될 수 있다는 염려인 것이다.


발행사들이 부도덕한 행위를 일삼아서는 안 된다는 데 공감하면서도 뿌리칠 수 없는 유혹인 만큼 관련된 규제 역시 불가피하다고 입을 모았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ELS 상품 자체가 하자가 있는 상품은 아니기 때문에 투자자들의 신뢰를 잃는 방향으로 간다면 시장도 투자자도 결국 손실을 보게 되는 셈"이라며 "지난해 발표된 개선안을 중심으로 꾸준히 이러한 행위가 근절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투자자들 역시 상품 가입에 있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당부도 덧붙였다.


다른 관계자는 "보통 고수익을 노리는 투자자들이 많이 찾게 되는데 6개월, 1년 단위의 주식시장에 대해 투자자들이 다소 안이한 시각으로 접근하는 성향도 없지 않다"며 "주식시장은 누구도 모른다는 인식을 갖고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코스피지수가 단기간 50% 이상의 급등락을 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고 하더라도 개별 종목의 경우는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는 것.


이에 이 관계자는 개별종목을 기초자산으로 한 상품보다는 지수 기준의 ELS 투자가 좀 더 안정적이라고 귀띔하기도 했다.


박민선 변명섭(pms0712@newspim.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