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창한 하늘 아래

investopedia.com에 올라온 기사로서, 최근 금 가격의 상승이 버블인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다른 버블과는 달리 금 가격 상승은 단순 투기 목적이 아닌 달러 가치하락, 금 공급의 한계, 미국, 유럽 국가들의 재정 위기 등으로 안전자산을 선호하는 현상으로 보고 있다. 결론적으로 금을 인플레이션이나 자연재해에 따른 물자 부족 등의 헤지 수단으로 보고 장기적인 투자를 권하고 있다.


----------------------------------------------


반짝이는 것이 모두 금인가? Is All That Glitters Gold?

Posted: August 29, 2011 8:27AM by Michael Sanibel


금은 문명이 시작된 이래로 세계 공통적으로 부의 상징이다. 이러한 사실이 영원히 변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금은 초기 화폐 제도나 금융 시스템을 대신했었다.



Gold has been the universal symbol of wealth since the dawn of civilization and there's no reason to believe this will ever change. It was also used to back up the earliest monetary and banking systems. (For more on gold, check out The Gold Standard Revisited.)



이 글은 쓰는 목적은 금의 매력을 조사하여 무엇이 가격을 점점 더 올리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금을 완전히 탐구하기 위해 나는 금을 소유하고 있다. 나는 몇년 전 금을 샀다. 미국 내 만들어지고 있는 거대한 자산과 부채 버블의 결과를 두려워하기 시작한 때였다. 결과적으로 나는 매일 금 관련 뉴스와 가격 움직임을 주시하고 있다. 어떤 투자든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재무 전문가와 함께 당신 스스로가 조사와 연구를 진행해라.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allure of gold and what has been pushing prices higher. In the interest of full disclosure, I own physical gold. I bought it several years ago when I began to fear the consequences of the giant asset and debt bubbles that were building in the U.S. As a result, I follow the news and price movements of gold every day. Do your own research and consult with financial experts before making any investments.



최근의 버블들 Recent bubbles


금의 가치가 올라감에 따라, 결국 터저버린 과거의 자산 버블과 당연히 대조할 수 밖에 없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As gold has risen in value, there have been the inevitable comparisons to past asset bubbles that eventually imploded. Here are a few recent examples:



대공황 기간 동안 다우존스 산업평균 지수는 1929년 9월부터 1932년 7월까지 거의 90% 폭락했다.



    During the Great Depression, the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dropped almost 90% during the period September 1929 to July 1932.



1980년대 일본의 경제 버블 기간 동안, 쉬운 신용대출과 엄청난 레버리지로 인해 부동산과 주식시장의 투기로 이어졌다. 1990년대 "잃어버린 10년" 동안 니케이 지수는 80% 떨어졌고 부동산 가치는 90% 이상 폭락했다.



    During the Japan economic bubble in the 1980s, easy credit and soaring leverage fueled speculation in real estate and the stock market. During the "lost decade" of the 1990s, the Nikkei sank 80% and real estate values plummeted over 90%.



2000-2002년 닷컴버블 붕괴는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 지수를 거의 80% 떨어지게 했다.



    The "dot-com" implosion of 2000-2002 caused the technology-laden NASDAQ stock index to lose almost 80% of its value.



2006년부터 미국 전역에서 시작된 주택시장 붕괴는 현재까지 전체적으로 30% 하락을 초래했다.



    The U.S. housing collapse started in 2006 in most parts of the country, resulting in a 30% overall decline to date.



금 버블? Gold bubble?


대부분 버블들은 미처 주의를 기울이지 못한 순간 시작한다. 그러나 "더 위대한 바보" 이론으로 알려진 조짐은 감지할 수 있다. 이것은 실제 어제보다 오늘 자산의 가치는 더 있다는 이유가 아닌 단지 가격이 오른다는 이유만으로 새로운 구매자가 뛰어들 때 발생한다. 이들은 더 높은 가격을 기꺼이 지불하려고 한다. 왜냐하면 다음 차례에 누군가 더 높은 가격에 산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들이 "더 위대한 바보"이다. 이러한 바보들이 끊임없는 있기 때문에 부동산 매매자들이 존재한다. 1999년 인터넷 관련 주식를 샀던 투자자들도 그러했다.



Most bubbles start completely unnoticed, but pick up steam under what is known as the "greater fool" theory. This occurs when new buyers jump in only because prices are rising, not because they think the asset is actually worth more than it was yesterday. They are willing to pay higher and higher prices because they believe they will always be able to sell later on to someone willing to pay an even higher price - the greater fool. Real estate flippers depended on a never-ending supply of such fools. So did the investors who bought Internet stocks in 1999.



금이 이제는 버블 단계에 있다고 결론 내리는 것은 쉽다. 반면 최근 금 가격 움직임이 순수 투기 이외 다른 원인이 실제로 있는지 의문이 든다. 몇가지 가능성 있는 고려사항이 있다

.


While it's easy to conclude that gold is now in bubble mode, the real question is whether or not the recent price action is based on more than pure speculation. Here are some possible considerations:



여전히 금은 1980년대 인플레이션을 반영한 최고가인 2,400달러 아래이다. 이것은 몇몇으로 하여금 더 뛰어 오를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믿게 하고 있다.



    Gold is still well below its January 1980 inflation-adjusted high of about $2,400, making some believe it still has plenty of room to run.



연방준비위원회는 디플레이션을 피하고 인플레이션을 유발시키기 위한 양적 완화 조치로 돈을 찍어내고 있다. 만일 이러한 통화정책이 지속되면, 장기적으로 높은 인플레이션과 상품가격의 상승이 불가피하다.



    The Federal Reserve is printing money (aka quantitative easing) to cause inflation (or avoid deflation). If this monetary policy continues, the long-term effect is likely to be high inflation and rising commodity prices.



금 공급은 제한적이고 무에서 창조해낼 수 없다. 



    The supply of gold is limited and more can't be created out of thin air.



몇몇 유럽국가들이 경제적 위기에 있고 재정 건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적 변화의 조짐이 있다. 미국도 마찬가지 길을 가고 있다.



    Several European countries are in severe financial stress, and there are few signs that enough structural changes are in place to put them on a sound footing. The U.S. is heading down the same path.



미국 경제는 현재 GDP의 10%에 달하는 연간 1.5조달러 부채로 견뎌오고 있다. 부채를 제외하면 과거 4년간 GDP 성장은 없었다. 이 부채는 예산을 균형있게 사용했다면 하루 밤사이에 없어질 약 7백만 일자리의 임금에 해당한다. 



    The U.S. economy is currently being propped up by $1.5 trillion of annual debt, accounting for 10% of GDP. Subtract that debt, and there has been no GDP growth in the past four years. That debt ispaying for about 7,000,000 jobs that would disappear overnight if the budget had to be balanced.



100년에 두번(1933년과 1980년), 다우지수와 금 가격의 비율은 1:1에 접근했다. 몇몇 사람들은 금 가격이 오르고 다우지수가 내려감에 따라 둘이 어느 지점에서 만나는 유사한 길을 다시 한번 가고 있다고 믿고 있다.

 


    Twice in the last 100 years (1933 and 1980), the ratio of the Dow to the price of gold approached 1/1. Some believe we are on a path to parity once again, with gold rising and the Dow falling until they meet somewhere in between. (For more reasons to add gold to your portfolio, see 8 Reasons To Own Gold.) 



평가 Assessment



금은 보석이나 장식품, 제한적 공업용으로 사용되는데 현재 수요는 대부분 정부, 중앙은행, 뮤추얼 펀드 그리고 개인 투자자들에 의한 것이다. 이러한 투자자들은 사실 실물 금을 원하지 않는다. 대신 인플레이션, 물자 부족, 전쟁 그리고 자연 재해의 헤지 수단으로 금을 보고 있다. 몇몇은 금을 투자 대신 보험으로 생각한다. 그렇지만 금은 이자 수익을 가져다 주지도 않으며 더구나 안전한 보관을 요구한다.



While gold is used in jewelry, ornamentation and limited industrial purposes, most of the current demand is being driven by governments, central banks, mutual funds and individual investors. These investors don't really need gold, but rather see it as a hedge against inflation, famines, wars and natural disasters. Some think of gold as insurance rather than an investment, as it provides no income stream and requires secure storage.



버블들은 가끔 정서적인 면에서 발생한다. 반면 금 가격의 상승은 아마 세계 경제에 대한 이성적인 판단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성장이 정체되고 빚은 늘어가고 많은 서구 국가들은 그들이 제공할 수 있는 것 보다 더 많은 정부 지원책을 약속하고 있다. 중대한 구조적 변화와 지출 삭감이 없는 한, 미국이 이러한 지원책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오직 한가지 방법은 돈을 빌리고 돈을 더 많이 찍어내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일들은 인플레이션을 더 높이고 달러의 약세 유발하고 실물 자산을 더욱 매력적으로 만든다.



While bubbles are often driven by emotion, the rise in gold may be tied to a rational assessment of the world economy. Growth has stalled, debts are rising, and many western nations have promised far more government services than they can now deliver. Without significant structural changes and spending cuts, the only way the U.S. can continue to provide those services is to borrow and print more money. That spells higher inflation, a weakening of the dollar and more attraction to hard assets.



만일 금이 버블 속에 있다면 이번에는 다를 수 있을까? 버블이라는 단어는 가격이 왜 오르는지 합리적이거나 지지할 만한 이유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구매자들이 단지 기차가 역을 떠나버릴지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에 물건들을 사는 것을 의미한다. 사람들에게는 신용 이외 다른 지지 기반이 없는 법정 화폐를 두려워 할만한 이유가 있다. 그리고 금을 안전 자산으로 보는 이유도 있다. 사람들이 금의 편을 들기 때문에 내기를 거는 것이 아니라, 다른 자산들에 반대하여 (금에) 내기를 건다. 더불어 유럽이나 미국의 향후 경제 여건 불확실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If gold is in a bubble, could it be different this time? The term "bubble" implies there is no logical or defendable reason why prices have risen, and that buyers are piling on simply because they are afraid the train is about to leave the station. People have a reason to fear fiat currencies that are backed by nothing other than faith, and many view gold as a safe haven. It's not so much that they are betting in favor of gold as they are betting against other asset classes. In addition, there is no shortage of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economic health of Europe and the U.S.



결론 Bottom line


금 가격이 5,000달러가 되면 세상은 어떻게 될까? 아마도 경제적으로 대단한 격변의 시기이고 아마도 세상은 혼돈의 시기라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따라서 금 가격 상승을 바라는 것은 양날의 칼이라고 볼 수 있다.



What would the world look like with gold at $5,000? Most likely it would mean that we are in a period of extreme economic upheaval and possibly world chaos. So hoping for gold to rise is really a two-edged sword.



2011년 8월 24일 금은 최근 최고치에서 150달러 낮게 거래되었다. 금이 그 정도 하락이 마지막 시기였다면 사야할 기회였다. 앞으로 살 수 있는 기회가 다시 있을까 아니면 많은 사람이 에측했듯 붕괴의 시작에 불과할까?



On August 24, 2011, gold was trading around $150 below its recent high. The last time gold had a pullback of that magnitude, it was a buying opportunity. Is another buying opportunity unfolding now, or is this just the start of the crash that many have predicted?



사거나 그렇지 않거나. 팔거나 그렇지 않거나. 당신이 데이 트레이더나 스윙 트레이더가 아닌 이상 내가 듣는 대부분 조언은 장기적으로 그리고 분산투자로 보라는 것이다. 실물 자산은 당신이 위험을 감수하는 정도나 생활의 단계에 따라 당신의 포트폴리오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어느 것도 곧바로 오를 수 없다. 따라서 살 수 있는 기회로 상당한 가격 하락이 있을 것으로 본다. 2,400달러까지 오를 때까지 아니면 기적이 일어나 경제적 질서가 현실적으로 될때까지 (살 수 있는) 방법을 계속 생각할 것이다. 



To buy or not to buy. To sell or not to sell. Unless you are a day- or swing-trader, the advice I hear most often is to think long-term and diversify. Hard assets should be a part of every portfolio depending on your risk tolerance and stage of life. Nothing goes straight up, so I view any substantial pullbacks as buying opportunities. I will probably continue to think that way until we start closing in on $2,400, or a miracle happens and financial discipline becomes a reality. (To learn more, check out 5 Signs Gold Has Peake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