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S 낙인(KI) 상품과 노낙인(No-KI) 상품 비교
ELS 낙인(KI) 상품과 노낙인(No-KI) 상품 비교
ELS 상품 중 낙인(KI, Knock-In) 조건이 있는 상품과 낙인(KI) 조건이 없는 상품이 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한국투자증권 10643회 경우 45% 낙인(KI) 조건이 있는 상품이고, 같은 증권사 10635회 경우는 낙인(KI) 조건이 없는 상품이다.
[한국투자증권 10643회]
조기상환 조건 : 95-95-90-85-80-75, 낙인 : 45%
[한국투자증권 10635회]
조기상환 조건 : 90-90-85-80-75-60, 노낙인
그러면 낙인(KI)이 있는 것과 낙인(KI)이 없는 것 중 어느 것이 더 유리할까?
10643회와 10635회 두가지 상품 모두 조기 상환이 없이 만기까지 간 상황으로 가정하고 낙인(KI)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와 발생하는 경우 손실율을 비교해 보자.
1. 낙인(KI) 발생하지 않는 경우
만기시 종가 | 10643 (KI 45%) | 10635 (No-KI) |
75%이상 | 손실 없음 | 손실 없음 |
60% ~ 75% | 손실 없음 | 손실 없음 |
45% ~ 60% | 손실 없음 | -55% ~ -40% |
2. 낙인(KI) 발생한 경우
만기시 종가 | 10643 (KI 45%) | 10635 (No-KI) |
75%이상 | 손실 없음 | 손실 없음 |
60% ~ 75% | -40% ~ -25% | 손실 없음 |
45% ~ 60% | -55% ~ -40% | -55% ~ -40% |
낙인(KI) 상품은 낙인(KI)이 발생하지 않는 한 낙인(KI) 조건(10643회 경우 45%)이 최후의 보루선 역할을 하며 노낙인(No-KI) 상품의 경우 낙인(KI) 여부에 관계 없이 마지막 조기상환 조건(10635의 경우 60%)이 마지막 보루선 역할을 한다.
결론적으로 낙인(KI)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낙인(KI) 조건이 있는 상품이 더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낙인(KI) 상품을 선택하되 낙인(KI) 발생 가능성이 낮은 즉, 낙인(KI) 조건이 낮은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