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미디어 에티켓 십계명
itworld.com에 실린 기사입니다.
아무리 좋은 것이라도 지나치면 본인들에게 불이익이 되는 셈이죠.
특히나 소셜 미디어는 정보 전달속도가 무척 빠르고, 전달범위가 워낙 광대하다 보니 한번 잘못된 정보가 흐르면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좋은 만큼 신중히 사용해야 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원문 :
글로벌 칼럼 | 소셜 미디어 에티켓
십계명) 1.
친구들에게 너무 많은 말을 하지 말라. - 농담, 개인
자랑, 개인사 등 남이 보고 싶어하지 않는 정보까지 올리지 말라는 권고입니다. 너무 많은
틔윗때문에 정작 의미 있는 정보를 찾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죠. 2.
소셜 미디어를 설교의 장으로 삼지 말라. - 개인적인
사상이나 이념을 끊임없이 표출하는 수단으로 삼지 말라고 합니다. 같은 이야기에
대해 친구나 가족의 반응이 좋지 않다면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에도 올리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3.
소셜 미디어를 불만의 배출구로 삼지 말라. - 소셜 미디어를
심리 치료실로 생각하는 불평가들이 많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한
사람의 불만스러운 이야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이 불편함을 느낀다면 하지 말아야 하죠. 4.
CNN이나 ESPN, TMZ인 척 하지 말라. - 뉴스,
스포츠, 연예에 관련된 기사를 퍼 나르지 말라는 이야기 입니다. 가뜩이나
인터넷 상에는 그런 기사들로 넘쳐나는 상황이라 정보 쓰레기만 만들 뿐입니다. 5.
전문가인 척 하지 말라. - 특정분야에
자칭 전문가 인척 매일 매일 '오늘의 명언', '오늘의 유머' 등의 트윗을 남기지 말라는 뜻입니다. 물론 좋은
말들이긴 하지만 다 읽어보기엔 시간 낭비라는 것이죠. 6.
숫자에 집착하지 말라. - 팔로어 숫자를
자랑하지 말라는 말입니다. 숫자가 전부가 아니죠. 남에게
도움되는 좋은 정보를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에 올려 놓으면 자연스럽게 팔로어가 늘어나는 법입니다. 7.
‘소셜 미디어 전문가'가 되지 말라. - 현실
세계에서는 실업자이고 소셜 미디어가 본업인 사람이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소셜
미디어 관련 토론이나 뻔한 질문으로 사람들을 귀찮게 한다고 하네요. 8.
오토파일럿에 기대지 말라. - 소셜 미디어
상에서 남들을 짜증나게 하는 행동보다 더 짜증나는 것은 자동 시스템을 설정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동일한 내용을
자동적으로 여러 군데 올리는 것은 사람들에게 도움주지 못하는 행동입니다. 9.
자신만 알 수 있는 말을 공유하지 말라. - 혼자 알 수
있는 말, 읽을 수 없는 말들을 쓰는 것은 삼가해야 겠죠? 10.
너는 친구들이 민망해할 사진을 공개하지 말지니라. - 이건 뭐...
다들 아시겠죠? 셀카는 혼자서 만족을 느끼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