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창한 하늘 아래

HSCEI 지수에 의해 Knock-In 되었던 ELS 중 3월에는 5개가 마이너스로 상환되었다. 1월, 2월, 3월 숫자가 점점 늘어가고 있다. (1월 2개, 2월 3개, 3월 5개 누적 10개)

마이너스 상환된 ELS 5개 중 4개는 가입 기준에 부합했다. 또한 4개 중 하나는 지금이었어도 가입했을 듯 하다. 나머지 것들은 굳이 약점을 찾는다면 연수익률이 5%대 라는 것이다. 아무래도 연수익률 가입 기준을 6%대로 높이는 것을 고려해 봐야 겠다. 마이너스로 상환된 ELS 들이 어떤 가입 기준을 미충족 했는지 적어 본다.

[ELS 가입 기준]

1. 지수형 ELS만 가입한다. 종목형 ELS나 DLS는 하지 않는다.
2. 낙인(Knock-In) 조건은 반드시 50% 이하로 설정한다.
3. 조기상환 조건 시작은 90% 이하로 한다.
4. 연수익률은 최소 5% 이상이어야 한다.
5. 원금보장형은 가입하지 않는다.

[Knock-In ELS 리스트]

- 한국투자 ELS 13815 : 3월 4일 -49.62% 로 상환되었다. 연수익률 5.6%, 조기상환 시작 조건 90% 두가지는 조건 충족이었지만, Knock-In 조건이 52%로 조건 미달인 ELS 이었다.

 

- 한국투자 ELS 13824 : 3월 8일 -49.31% 로 상환된 ELS 이다. 연수익률 5.2%, 조기상환 시작 조건 88%, Knock-In 조건 48%로 가입 기준에 부합했지만 마이너스 상환 되었다. 이런 경우는 별 수 없이 마이너스를 맞이해야 하는 걸까?

 

- 한국투자 ELS 13860 : 3월 15일 -47.49% 로 상환된 건이다. 연수익률 5.4%, 조기상환 시작 조건 88%, Knock-In 조건 48% 이하 였다. 이 역시 가입 기준에 부합 그러나 마이너스 상환된 케이스이다.

 

- 신한금융 ELS 20680 : 3월 22일 -47.98% 로 상환된 ELS 이다. 연수익률 6.1%, 조기상환 시작 조건 90%, Knock-In 조건 50% 이하로 조건 충족한 경우이다. 가입 기준에 부합 그러나 마이너스 상환되었다. 이 ELS 경우 지금이었어도 가입했을 것 같다. 이런 경우는 그냥 수업료 냈다 라고 생각해야겠다.

 

- 한국투자 ELS 13907 : 3월 22일 -48.89% 로 돌아온 ELS 이다. 연수익률 5.4%, 조기상환 시작 조건 88%, Knock-In 조건 48% 이하 였지만 마이너스 상환되었다. 역시 수업료 냈다라고 스스로 위로해야겠다.

반응형

꽤 오랫동안 ELS 투자를 해 오고 있다. ELS 구조가 상방으로는 몇 %로 막혀 있고 하방으로는 한푼도 건지지 못할 수 있는 구조인데 왜 그런 투자하느냐며 누군가는 말한다. 맞는 말이다. 그렇지만 몇 %라도 얻을 수 있는 확률이 더 높지 않나 해서 계속 투자해 오고 있다. 물론 그 과정에서 손실을 여러번 보기도 했다.

개별종목이 기초자산에 포함된 ELS나 금/은/상품이 기초자신인 DLS에서 Knock-In을 경험했고 2015년, 2018년 HSCEI 지수로 인해 Knock-In 된 적이 있었다.

- 지수형 ELS 낙인(Knock-In)을 경험하며 
- 지수형 ELS 낙인(Knock-In)을 경험하며 - 그 이후 

이러한 과정을 겪으면서 나름 원칙으로 정한 것이 있었다. 

1. 지수형 ELS만 한다. 종목형 ELS나 DLS는 하지 않는다.
2. 낙인(Knock-In) 조건은 무조건 50% 이하로 한다.
3. 조기상환 조건 시작은 90% 이하로 한다.
4. 연수익률은 최소한 5% 이상이어야 한다.
5. 원금보장형은 하지 않는다. 

이런 원칙을 세웠음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몇개월 후인 2024년 1월부터 HSCEI 지수로 인해 Knock-In 된 것들이 차례 차례 마이너스로 상환될 예정이다. 그 때까지 HSCEI 지수가 8,000선까지 올라가면 플러스로 상환될 수도 있지만 거의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것 같다.

그러면 뭐가 잘 못이었을까. 당연히 원칙을 저버린 결과였다. ELS 가입 당시인 2021년 상반기는 HSCEI 지수가 11,000 ~ 12,000을 오르내릴 때였다. 물론 원칙에 따라 가입한 것들도 있지만 2번 'Knock-In 조건 50% 이하', 4번 '연수익률 최소 5% 이상' 이 두가지를 어긴 것들이 대부분이다. 

무엇이 급해서 Knock-in 조건 55% 짜리나 연수익률이 4%대인 ELS를 가입했었을까 하는 후회가 든다. 하지만 어떻게 하겠는가. 투자는 내가 선택한 것이고 선택에는 책임이 따르는 것이 세상 일인 것을. 특히 연수익률이 낮다는 것은 그 만큼 변동성이 낮다는 의미고 그 말은 변곡점에 거의 왔다 라고 봤어야 했다. 

또 한번의 ELS Knock-In을 겪여야 하는 상황에서 투자뿐 아니라 다른 일을 하더라도 스스로 세운 원칙을 깨서는 안된다 라는 것을 다시 느껴본다.
 

반응형

ELS 낙인(KI) 상품과 노낙인(No-KI) 상품 비교


ELS 상품 중 낙인(KI, Knock-In) 조건이 있는 상품과 낙인(KI) 조건이 없는 상품이 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한국투자증권 10643회 경우 45% 낙인(KI) 조건이 있는 상품이고, 같은 증권사 10635회 경우는 낙인(KI) 조건이 없는 상품이다.


[한국투자증권 10643회]
조기상환 조건 : 95-95-90-85-80-75, 낙인 : 45%


[한국투자증권 10635회]
조기상환 조건 : 90-90-85-80-75-60, 노낙인



그러면 낙인(KI)이 있는 것과 낙인(KI)이 없는 것 중 어느 것이 더 유리할까?


10643회와 10635회 두가지 상품 모두 조기 상환이 없이 만기까지 간 상황으로 가정하고 낙인(KI)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와 발생하는 경우 손실율을 비교해 보자.


1. 낙인(KI) 발생하지 않는 경우

 만기시 종가  10643 (KI 45%)  10635 (No-KI)
 75%이상  손실 없음  손실 없음
 60% ~ 75%  손실 없음  손실 없음
 45% ~ 60%  손실 없음  -55% ~ -40%



2. 낙인(KI) 발생한 경우

 만기시 종가  10643 (KI 45%)  10635 (No-KI)
 75%이상  손실 없음  손실 없음
 60% ~ 75%  -40% ~ -25%  손실 없음
 45% ~ 60%  -55% ~ -40% -55% ~ -40%



낙인(KI) 상품은 낙인(KI)이 발생하지 않는 한 낙인(KI) 조건(10643회 경우 45%)이 최후의 보루선 역할을 하며 노낙인(No-KI) 상품의 경우 낙인(KI) 여부에 관계 없이 마지막 조기상환 조건(10635의 경우 60%)이 마지막 보루선 역할을 한다.


결론적으로 낙인(KI)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낙인(KI) 조건이 있는 상품이 더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낙인(KI) 상품을 선택하되 낙인(KI) 발생 가능성이 낮은 즉, 낙인(KI) 조건이 낮은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반응형

2015년 가입한 지수형 ELS 중 홍콩H지수(HSCEI)로 인해 낙인(Knock-In)되었던 6개 ELS가 지난 5월까지 모두 상환되었다. 6개 중 1개만 -17% 손실 상환되었을뿐 나머지 5개는 다행히 무사 귀환하였다.


이러한 경험이 ELS 투자원칙을 다시 한번 가다듬게 해준다.


2015년 당시에는 '지수형 ELS만 한다.', '원금보장형은 하지 않는다.', 'DLS도 하지 않는다.' 라는 원칙 정도만 갖고 있었지만, 홍콩H지수로 인한 낙인(Knock-In) 경험이 지수형 ELS 선택 기준을 좀 더 가다듬는 계기가 되었다. 


1. 낙인(Knock-In) 조건은 무조건 50% 이하로 한다.


2015년 낙인(Knock-In)되었던 ELS들의 낙인(Knock-In) 조건은 모두 55%이었다. 물론 50%도 2008년 금융위기와 같은 상황이 오면 전혀 낙인(Knock-In) 되지 않는다고 말 할 수 없다. 그렇지만 가급적 낙인(Knock-In) 50%부터 그 이하 ELS를 선택하고 있다. 다만 45%나 40% 상품의 경우는 청약경쟁률이 높거나(안분배정되거나) 이율이 낮은 단점은 고려해야 한다.


2. 조기상환 조건 시작은 90% 이하로 한다.


이 원칙에는 '무조건'이라는 말이 없다. 95%도 고려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즉 적정 이율이 보장된다면 1차 상환(최대 2차) 95%도 선택 가능하다. 이 경우 조기상환 기대를 1년(최대 1.5년) 으로 미뤄야 한다.


3. 이율은 최소한 5% 이상이어야 한다.


은행 정기예금 금리가 많아야 2%도 안되는 상황에서 5% 이하 이율도 감안해 볼 수는 있지만, ELS를 중수익 상품으로 본다면 최소한 세전 5% 이상은 되어야 한다는 것이 개인적인 생각이다. 지수형 ELS 7%~8% 상품도 있었던 때가 있었으니 더욱 그렇다. 


투자에 있어 손실 보지 않겠다는 생각은 욕심이다. 불가피하게 발생할 수 밖에 없는 손실을 최소화 한다는 마음가짐이 중요할 듯 하다.



반응형

지수형 ELS 낙인(Knock-In)을 경험하며 

 

홍콩 H지수가 반년새 반토막이 났다는 기사이다.

덕분에 작년 4월 ~ 5월 사이에 가입했던 지수형 ELS가 금주들어 낙인되었다.

 

홍콩 H지수 반년새 반토막.. ELS 원금손실 공포

어제 7년만에 장중 8000선 붕괴 7000선 이하로 내려가면 ELS상품 원금 손실 8조원 예상 작년 증시 활황때 '쏠림 현상', 급락장에선 '毒杯'나 다름 없어 증권사 "저점이 투자 적기" 주장조선비즈 | 안준용 기자 | 입력 2016.01.21. 03:09

 

낙인된 ELS 가입 당시 H지수는 14,000대 후반이었고 가입한 ELS의 낙인은 55%로 8,000대 초반이었다. 그런데 이번주 들어 H지수가 8,000 ~ 8,100에 마감함에 따라 원금손실 발생기준가격(KI)에 걸린 것이다.

 

ELS를 알고 투자한지 몇년 되었고 그동안 종목형 ELS에서 OCI로 인한 낙인 경험과
금/은 DLS에서 은가격으로 인한 낙인 경험이 있다. (두번 모두 절반도 못 건졌다.)

 

두번의 낙인 경험으로 종목형 ELS와 DLS는 아예 처다도 보지 않고 지수형 ELS만 가입해 왔는데 이번엔 지수형 ELS에서도 낙인을 경험한 것이다.

 

작년 4월부터 손증모(손실을 증오하는 사람들의 모임) 네이버 카페 방장인 '부자총각(부총)'님은 H지수 14,000대는 위험하니 ELS 가입을 자제해달라는 권고도 했었다.그러나 설마 반토막 나겠어 하는 마음에 가입했던 것이 현실로 나타났다.

 

앞으로 어떻게 할까.


우선 헷지 차원에서 ETF(Kodex China H)를 가입 금액과 동일한 수준으로 매입해야 겠다. 그리고 언제가 될지 모르지만 홍콩 H지수가 14,000대 도달하면 매입한 ETF를 매도해야 겠다.

 

투자에 따른 손실은 결국 본인의 책임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