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창한 하늘 아래

ELS 낙인(KI) 상품과 노낙인(No-KI) 상품 비교


ELS 상품 중 낙인(KI, Knock-In) 조건이 있는 상품과 낙인(KI) 조건이 없는 상품이 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한국투자증권 10643회 경우 45% 낙인(KI) 조건이 있는 상품이고, 같은 증권사 10635회 경우는 낙인(KI) 조건이 없는 상품이다.


[한국투자증권 10643회]
조기상환 조건 : 95-95-90-85-80-75, 낙인 : 45%


[한국투자증권 10635회]
조기상환 조건 : 90-90-85-80-75-60, 노낙인



그러면 낙인(KI)이 있는 것과 낙인(KI)이 없는 것 중 어느 것이 더 유리할까?


10643회와 10635회 두가지 상품 모두 조기 상환이 없이 만기까지 간 상황으로 가정하고 낙인(KI)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와 발생하는 경우 손실율을 비교해 보자.


1. 낙인(KI) 발생하지 않는 경우

 만기시 종가  10643 (KI 45%)  10635 (No-KI)
 75%이상  손실 없음  손실 없음
 60% ~ 75%  손실 없음  손실 없음
 45% ~ 60%  손실 없음  -55% ~ -40%



2. 낙인(KI) 발생한 경우

 만기시 종가  10643 (KI 45%)  10635 (No-KI)
 75%이상  손실 없음  손실 없음
 60% ~ 75%  -40% ~ -25%  손실 없음
 45% ~ 60%  -55% ~ -40% -55% ~ -40%



낙인(KI) 상품은 낙인(KI)이 발생하지 않는 한 낙인(KI) 조건(10643회 경우 45%)이 최후의 보루선 역할을 하며 노낙인(No-KI) 상품의 경우 낙인(KI) 여부에 관계 없이 마지막 조기상환 조건(10635의 경우 60%)이 마지막 보루선 역할을 한다.


결론적으로 낙인(KI)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낙인(KI) 조건이 있는 상품이 더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낙인(KI) 상품을 선택하되 낙인(KI) 발생 가능성이 낮은 즉, 낙인(KI) 조건이 낮은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반응형

 제이슨 켈리 '3% 시그널' 232 ~ 237p에 나오는 내용으로 분기별로 수행해야 하는 5단계 절차에 대한 설명입니다.

 

1단계지난 분기 말의 주식 잔고에 증가율 목표인 3퍼센트에 해당하는 1.03을 곱한 다음그 결과에 분기별 납입액의 절반을 더하여 기준선을 정한다. 

 

가령 지난 분기의 최종 주식 잔고가 1 2,843달러, 현재 분기에 660달러를 추가 납입했다면 다음과 같은 계산이 나온다.

 

- 해당 분기의 3퍼센트 증가 목표치: $12,845 * 1.03 = $13,230

- 분기별 납입액의 절반: $660 / 2 = $330

- 해당 분기의 신호선: $13,230 + $330 = $13,560 

 

2단계기준선에서 현재 주식 잔고를 뺀다결과가 양이면(즉 기준선이 크면매수하고 0에 가까우면 보유하고음이면(즉 주식잔고가 크면매도한다. 주식 매매 수량은 기준선과 차이 값을 주식펀드의 가격으로 나눠서 정한다.

 

주식 잔고가 1 2,976달러이고 주식펀드 가격이 49.17달러인 경우 1단계에서 나온 신호선에 따른 계산은 다음과 같다.

 

- 주식펀드 매수액: $13,560 - $12,976 = $584

- 주식펀드 매수 수량: $584 / 49.17 = 11.88  19


주식 잔고가 1 4,110달러(매도 신호)이고 주식 펀드의 가격이 53.47달러이면 아래와 같다.

 

- 주식펀드 매도액: $14,110 - $13,560 = $550

- 주식펀드 매수 수량: $550 / 53.47 = 10.29  10


3단계주식펀드 매수 신호가 나오면 주문에 필요한 금액만큼 채권펀드를 매도한다주식펀드 매도 신호가 나오면 매도한 금액으로 채권펀드를 매수한다.

 

2단계에서 주식펀드 584달러를 매수해야 할 때 채권펀드 매도 수량은 다음과 같다. (채권펀드 가격: 11.83달러)

 

- 채권펀드 매도 수량: $584 / 11.83 = 49.37  50

 

4단계주식펀드 매도 신호가 나오면 채권펀드 비중이 재조정 기준인 30% 미만인지 확인한다만약 30% 이상이라면 초과 잔고를 다음 번 주식펀드 매수 신호 시 주식펀드로 옮겨서 채권펀드 20%를 맞춰라.

 

5단계주식펀드 매도 신호가 나오더라도 SPY(S&P500 추종 ETF)가 이전 2년 동안의 고점에서 30% 넘게 하락했는지 점검한다. (우리의 경우 KOSPI200 추종 ETF로 대치하면 될 듯 함만약 그렇다면 '30% 하락 버티기' 국면에 진입하여 다음 번 나오는 4번의 매도 신호는 무시한다. (약세장에서 투자금을 매도 하지 않음으로써 뒤이은 반등장에서 수익을 더 얻을 수 있기 때문임)



반응형

매일 아침 지하철 2호선으로 출근한다.

출근할 때면 잠실새내역을 거쳐간다.

지하철역 이름이 '신천'에서 '잠실새내'역으로 변경된지  2년 정도 된 듯하다.

 

당시 '잠실새내로 바뀌었네?' 하는 정도로 지나쳤지만 

오늘 아침 변경한 이유가 뭘까 라는 생각이 문득 든다

 

이름을 변경할 때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것이다.

'신천'이라는 이름이 같은 2호선내 '신촌'과 무척 혼동되는 것은 사실이다.

그리고 지하철역이 있는 위치가 실제 신천동이라는 법정 행정구역과 차이가 있었다고 한다.

 

그런 이유가 있었다면 '신천'의 본래 이름인 '새내'로 변경하는 것 까지는 이해된다.

그러나 '잠실'이라는 말이 왜 붙었을까?

 

그냥 드는 생각은 서초, 강남, 잠실이라는 강남 3구의 프리미엄. 그것이 아니었을까 한다.

소위 말하는 서울내에서도 잘 사는 동네라는 네임 밸류. 그것을 원하는 것이 아니었을까 한다.

 

이름으로 인해 다소나마 핸디캡이나 불이익을 받는 경우 

이름을 변경하는 것은 이해 구할 수 있는 문제이다.

 

하지만 이미 (이름에 관계없이) 다른 사람들 보다 뭔가 더 누리거나 갖고 있는데도

이름 변경하여 더 많은 것을 얻으려고 한다면 그것은 이기심이 아닐까.

 

잠실새내 사는 사람들의 가치관을 폄하할 생각은 없다

어느 누구나 자신만의 관점과 사고방식이 있으니.

그렇지만 '잠실새내'라는 단어를 들을 때면 왠지 개운치 않은 느낌이 든다.




반응형

※ 제이슨 켈리의 '3% 시그널, 당신의 인생을 바꾸는 과학적 투자법' 이라는 책의 간추린 내용입니다. 

 

주식시장은 예상하는 것이 아니라 변화에 대응하라는 것이 저자의 주된 관점입니다. 대응의 관점에서 아래 방법론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1. 자산 구성

- 전체 계좌를 주식형 80%, 채권형 20%로 비율로 나누어 주식형, 채권형 모두 1개의 펀드(또는 ETF)로 구성한다.

- 주식형은 시장 지수를 추종하는 펀드(또는 ETF)로 하되 소형주 펀드가 더 유리하다. 소형주는 대형주 대비 변동성이 더 크고 높은 수익률을 가져다 주기 때문이다. 채권형은 어느 유형이든 상관 없다.

 

2. 자산 조정

- 1년에 4번(매분기)마다 자산을 재조정하고, 재조정 목표치는 주식형의 3% 이익이다. 

- 주식형 목표치 3%를 초과하는 경우는 매도 신호로서, 초과분을 매도하고 해당 금액 만큼 채권형을 매수한다. 다만 매도 신호가 나오더라도 지수가 2년전 대비 30%이상 하락한 경우라면 매도 신호를 최대 4번까지는 무시해도 된다.

- 주식형 목표치 3%를 미달하는 경우는 매수 신호로서, 부족한 금액만큼 채권형을 매도후 주식형을 매수한다.

- 다음 분기 목표치는 3% 이익으로 재수립한다. 즉, 주식형 목표치를 항상 일정하게 하여 원금이 계속 늘어나도록 해야 한다.

 

3. 신규 자금(또는 정기 납입) 추가 투입

- 신규 자금4번 나누어 주식형 50%, 채권형 50%으로 추가 투입한다. 정기 납입도 마찬가지로 주식형 50%, 채권형 50%로 나누어 투입한다. 이 경우 주식형 목표치는 '직전 분기 원금 + 목표치(3%) + 신규자금 50%' 로 재조정된다.

 

4. 채권형 자산 조정 

- 주식형 자산 매도 나 신규 자금 투입으로 채권형 자산이 20%를 넘어 30%에 도달하게 되면 다음번 매수 신호 발생시 채권형 초과분 10%를 모두 주식형으로 매수한다.

- 채권형 자산 잔고가 주식형 매수로 인해 모두 바닥난 경우에는 자금을 추가 투입하는 것이 최선의 대책이다. 다만 새로운 자금 조달이 불가능한다면 정기 납입 이나 주식형 매도 신호로 인해 채권형 자산 잔고가 보충 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반응형

 상승미소 이명로님의 유튜브 동영상 내용 요약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JFcsO5louc)

대북경협 테마주 중에 아직 덜 주목받고 있는 종목에 관한 내용입니다. 5/28일 올라온 동영상이어서 당시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점 감안하고 들으시기 바랍니다.



- 대북경협은 통행  통관 → 금융 부분 순서로 테마가 형성될 것으로 보임. 통행은 사람의 통행을 의미하며 통관은 철도, 운송 등 물류부분을, 금융은 인프라 구축을 위한 투자를 의미함

 

- 이 중 물류부분은 아직 사람들로부터 덜 주목을 받고 있으며, 철도나 항만 등이 덜 준비된 상태에서는 컨테이너를 통한 육상 수송이 우선 필요함.

 

- 컨테이너 수송 관련 주식으로는 CJ대한통운, 국보가 있음.

 

- CJ대한통운은 대북경협 테마주치고는 거래량이 현대건설, 현대로템 대비 평소 수준임. 즉 시장의 주목을 아직 덜 받고 있음.

 

- 국보의 경우도 거래량이 평소 수준임. 국보는 소형주로서 육상, 해상 컨네이너 물류 사업을 하는 회사임. 또한 최근 1분기 흑자전환(턴어라운드)한 종목이고 시총이 260억임. 최근 매각한 자산으로 인해 300억 현금흐름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

 

주식 종목은 늘 앞날을 내다볼 수 없다. 특히 선거나 대북경협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요동치는 테마주를 보면 더욱 그러한 생각이 든다. 투자는 늘 위험이 따른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