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창한 하늘 아래

행동경제학 교과서 - 우리는 왜 지갑을 여는가? 라는 책의 318 ~ 319페이지에 있는 글입니다.


사람들은 손해나는 것을 더 기피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심리적 현상으로 인해 손실나고 있는 투자를 손절하지 못하고 손해만 키워가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손해나고 있는 그 가격에 해당 주식을 사고자 하는 마음이 없다면 손실을 인정하는 것이 더 낫습니다.

 

숙고해야 할 10가지 원칙들


2. 손실로 인한 실망은 이익을 얻는 기쁨보다 크다.


전망 이론(행동경제학의 기본 원리)'의 중심적 원리 중 하나는 사람들은 손실을 기피한다는 것이다. 100달러를 잃은 아픔은 같은 금액을 손에 넣는 기쁨보다 훨씬 크다. 이를 통해, 위험을 무릅쓸 때의 행동에 일관성이 없다는 이유를 쉽게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같은 사람이 이익을 지킬 때는 보수적으로 행동한다(보유하고 있는 주식이 올라가면, 이익을 놓치고 싶지 않아 팔아버린다). 한편, 손실을 피하고자 할 때는 보다 과감해진다(내려가고 있는 주식을 피하고자 할 때 는 보다 과감해진다(내려가고 있는 주식이 언젠가는 올라갈 것이라 기대하고 계속 쥐고 있다).


손실 회피로 인해 시장이 어수선하게 혼란한 시기에 모든 주식을 팔아버리는 투자자도 있다. 단기적으로는 마음이 편할지 모르겠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 시장의 타이밍을 노리겠다는 그 같은 노력이열매를 맺는 경우는 없다.


손실과 이익의 이 같은 '불균형'이 유리하게 작용하는 경우도 있다. 급여 공제를 이용하여 돈을 투자하면 저금하는 고통이 비교적 작아진다. 급여가 줄어드는 것은 확실한 손해를 본 것(현금으로 예금계좌에서 빠져나가는 것)이 아니라, 이익이 줄어든 것(더 많아야 되는 급여를 받지 못한 것)이라고 느껴지기 때문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