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창한 하늘 아래

(아래글은 한국경제신문에서 발간한 '여의도 황금손 30인의 고수익 투자법- 펀드매니저의 투자 비밀' 이라는 책의 333p ~ 342p 내용에서 옮겨 적었음을 밝힙니다.)


어떤 펀드를 골라야 좀더 안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을까? 펀드는 언제 사고 언제 팔아야 할까? 올바른 펀드투자법은 무엇일까? 이러한 물음에 대해 펀드매니저들은 10가지 펀드투자 원칙을 제시하였다.


1. 목적에 맞는 펀드를 골라라.


우선 펀드투자의 목적이 분명해야 한다. 목적에 따라 안정성, 수익성, 환금성 등을 기준으로 펀드를 고를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주택마련이나 노후자금 등 목돈을 만들려고 한다면 원금 손실 위험이 낮아야 한다. 동시에 은행 금리 이상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어야 한다. 각 증권사와 운용사들이 내놓은 장기주택마련펀드나 연금펀드 등은 적립식 장기투자 방식에 적합한 상품이다. 다만 장기투자 펀드의 대부분은 중도에 해지하면 가산세를 내야 하니 필요할 때 현금화 할 수 있는 환금성은 다른 상품에 비해 떨어진다.


펀드 투자기간도 고려해야 한다. 펀드는 상품별로 가입 기간에 따라 환매수수료가 다르기 때문이다. 홤내수수료는 펀드에서 자금이 제한없이 빠져나가면 운용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어 일정기간 동안 환매를 막기 위한 제도이다.


큰돈을 한번에 넣는 거치식펀드의 경우 대개 90일 이후에 환매숫수료가 없다. 적립식펀드의 경우엔 달마다 돈을 납입하기 때문에 환매 전 3개월 동안에 대해서만 수익이 났을 경우 수수료를 낸다. 장기투자가 목적인 펀드의 경우, 만기가 지나면 환매수수료를 면제한다. 환매수수료는 운용사나 판매사로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해당 펀드에 편입된다. 투자자들은 단기, 중기, 장기 등 투자 목적에 알맞은 상품을 골라야 그에 걸맞는 성과를 거둘 수 있다.


앤서니 볼턴 피델리티인터내셔널 투자부문 대표는 개인투자자들의 경우 적어도 3년, 가능하면 5년 앞을 내다보고 주식투자에 나서라고 조언한다. 적어도 3년 이내에 쓸 돈으로는 주식을 하지 말라는 것이다. 펀드의 주 운용 대상이 주식인 만큼 펀드투자자들도 볼턴의 조언을 새길 필요가 있다.


2. 자기 성향에 맞는 펀드를 골라라.


펀드는 크게 주식형, 채권형, 혼합형 등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고수익을 추구하는 공격적인 투자자라면 주식에 자금의 60% 이상을 투자하는 주식형펀드 상품이 알맞다. 대신 주식형펀드는 높은 수익을 추구하는 만큼 위험성도 높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안전한 투자를 원하는 사람은 채권에 60% 이상 투자하는 채권형펀드가 맞을 것이다. 주식형보다는 수익성은 낮을 수 있지만 채권 투자 비중이 많은 만큼 안정성은 높다.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추구하려면 주식과 채권의 투자 비중이 60% 미만인 혼합형에 가입하면 된다.


주식시장이 호황일 때는 주식형펀드의 수익율이 채권형펀드를 압도하지만 주식 하락기에는 채권형펀드의 수익율이 상대적으로 좋다. 따라서 자신의 성향과 시장상황에 맞춰 주식형펀드와 채권형펀드, 혼합형펀드를 골라야 한다.




반응형

1. 추가 불입에 따른 구분 : 추가형, 단위형


- 추가형 : 최초로 펀드를 설정한 이후 투자자의 수요에 따라 펀드의 투자자금을 계속하여 추가적으로 모집할 수 있는 펀드이다.

- 단위형 : 이미 설정된 펀드에 투자자들의 투자자금을 추가로 받아 들일 수 없는 펀드로 투자자금을 추가로 받지 않기 때문에 펀드설정 초기에 모집된 자금만으로 펀드 만기시까지 운용해야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2. 중도 환매 여부에 따른 구분 : 개방형, 폐쇄형


- 개방형 : 추가입금 여부와 관계없이 환매가 가능한 펀드로 개방형펀드는 단기간 내에 환매하는 경우 일정기간을 정하여 환매수수료를 부과하기도 한다.

- 폐쇄형 : 신탁기간 중에 투자자금에 대해 환매를 청구할 수 없는 펀드로 환금성이 제약되는 펀드로 이렇게 환매를 제한하는 이유는 위험이 높고 유동성이 적은 자산이나 특수한 지역의 자산에 투자하는 경우 중도환매가 운용상 위험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 대부분 개방형은 추가형을,  폐쇄형은 단위형의 형태를 취한다.

   개방형 펀드(추가형 펀드)  폐쇄형 펀드(단위형 펀드)
 모집 방법  추가 모집 가능  추가 모집 불가능
 신탁재산  변동  변동 없음


3. 투자자 모집방법에 따른 구분 : 공모펀드, 사모펀드


- 공모펀드 : 불특정 다수로부터 공개적으로 돈을 모으는 것으로 보통 금융기관 창구에서 누구나 가입할 수 있는 펀드이다.

- 사모펀드 : 법률에 의한 일정 수(49인 이하) 이내의 투자자만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펀드이다.


4. 투자지역에 따른 구분


- 국내형 : 한국시장에 투자하는 펀드 중 국내에서 설정된 펀드

- 해외형 : 해외에 투자하는 펀드, 해외펀드는 투자지역에 따라 글로벌펀드, 특정국가에 투자하는 펀드 (인도펀드, 중국펀드, 일본펀드 등), 일부 국가들을 묶어서 투자하는 펀드 (신흥시장펀드, 중남미펀드, 유럽펀드 등) 등으로 다양하게 구분된다.


해외펀드는 다시 역외펀드와 국내운용 해외투자펀드로 나뉜다. 역외펀드는 글로벌 자산운용사가 해외에서 펀드를 설립해 국내를 비롯한 세계 여러 국가에서 모은 자금으로 세계각국에 투자하는 펀드이고, 국내운용 해외투자펀드는 우리나라 설립 근거 법에 따라 국내 운용사들이 국내 투자자를 대상으로 자금을 모아 해외 자산에 투자하는 펀드이다.


5. 투자대상 유형에 따른 분류


- 글로벌형 : 전세계 주식시장에 투자

- 지역형 : 특정지역(아시아, 중남미, 동유럽 등) 주식시장에 투자

- 국가형 : 특정국가(중국, 인도, 일본 등)의 주식시장에 투자

- 섹터형 : 특정산업(헬스케어, 파이낸셜, 원자재 등) 주식시장에 투자


6. 자산 운용내역에 따른 분류 : 채권형 펀드, 혼합형, 주식형


채권형 펀드는 주식을 편입하지 않고 자산총액의 70% 이상을 채권으로 운용한다. 반면 주식형 펀드는 자산총액의 70% 이상이 주식으로 운용된다. 혼합형 펀드는 주식형 펀드나 채권형 펀드로 구분할 수 없는 것으로, 다시 채권혼합형과 주식혼합형으로 나눌 수 있다. 채권혼합형은 주식 최고 편입비율이 50% 미만인 것이고, 주식혼합형은 50%이상인 것이다.


※ 채권형 펀드와 주식형 펀드

   채권형 펀드  주식형 펀드  혼합형 펀드
 투자 유가 증권  채권  주식  채권, 주식
 채권편입비중  자산총액의 70%이상    채권혼합: 주식50%미만
 주식편입비중    자산총액의 70% 이상  주식혼합: 주식50%이상

6.1 주식형 펀드의 종류


주식형 펀드는 투자하는 주식종목의 특성에 따라 대형주펀드, 중소형주 펀드, 가치주펀드, 성장주펀드 등으로 다양하게 구분된다.

                                               

- 대형주-중소형주 펀드 : 주식은 기업별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대형주, 중형주, 소형주로 구분할 수 있다. 대형주는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POSCO와 같이 한국의 경제를 대표하는 주식을 말한다. 중소형주는 대형주와 달리 투자정보가 많지 않으며, 시장에서 거래량이 작기 때문에 매수와 매도가 어려운 반면 종목에 따라 대형주보다 수익률이 높을 수 있다.


- 가치-성장주 펀드 : 주식은 시장 평가에 따라 가치주펀드와 성장주펀드로 구분할 수 있다. 가치주는 기업의 시장 거래 가격이 내재가치에 비해 저평가된 주식으로써, 주로 낮은 주가수익비율(PER)과 주가자산비율(PBR), 높은 배당수익률, 과거 PER에 비해 낮은 PER 등을 가진 주식들이다. 이에 반해 성장주는 기업의 성장성이 높게 예상되기 때문에 현재는 기업의 이익이나 자산가치에 비해 PER나 PBR이 높이 평가된다. 


6.2 채권형 펀드의 종류


채권형 펀드의 종류는 채권의 신용등급과 잔존만기로 구분된다. 채권의 신용등급을 기준으로 국공채펀드, 투자등급 회사채펀드, 투기등급 회사채펀드의 3가지로 구분되며, 잔존만기 길이에 따라 장기채권형펀드(잔존만기 3년이상), 중기채권형펀드(잔존만기 1년∼2년), 단기채권형펀드(잔존만기 1년 이하)로 구분할 수도 있다.


내용 출처 : www.funddoctor.co.kr, fund2.moneta.co.kr, blog.samsungfund.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