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창한 하늘 아래

(저도 동일한 경우지만) 포트폴리오에 수익나고 있는 주식은 거의 보유하지 않고, 손실 중인 주식만 대부분 갖고 있는 경우, 그 원인이  '손실회피'라고 하는군요. 


수익난 주식은 금새 팔아버리고 손해난 주식은 어쩔 수 없이 장기 보유하는 현상을 말하는 거죠. 딱 제 이야기를 하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되기까지 여러가지 핑계거리가 있을 수 있지만, 손실 중인 주식을 추가매수할 만한 가치가 없다고 판단될 때는 과감히 손절하는 것도 한 방법이겠습니다. 


아래는 아이투자닷컴(www.itooza.com)의 스노우볼레터 원문입니다.


--------------------------------------------------------


[스노우볼레터]포트에 (+)가 별로 없네..이유는 따로 있다?

주식투자를 하다보면 자신도 모르게 수익이 나는 기업은 어느새 팔아버렸고 손실중인 기업만을 장기보유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곤 합니다. 이를 '손실기피'라고 하는데요. 수익보다 손실을 확정하기가 더 어려운 사람 심리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피터 린치는 이를 '꽃을 꺾고 잡초에 물을 준다' 라고 표현한 바 있습니다.


시카고 대학의 안드레아 프라지니 교수는 노련한 펀드매니저 역시 손실기피로 괴로워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프라지니 교수는 1980년~2002년 사이의 미국 뮤추얼 펀드 3만곳의 거래 내역을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전체 펀드에서 잠재 수익의 17.6%가 실현된 반면, 잠재 손실은 14.5%만 실현됐습니다. 수많은 종목을 보유한 펀드매니저도 손실이 난 주식보다 수익이 난 주식을 팔 가능성이 20% 더 높았습니다.


사실 투자 손실이 나더라도 기업의 내재가치보다 저렴한 가격이라면 장기보유해도 문제가 없습니다. 다만 이러한 통계는 우리가 손실난 기업에 대해 실제보다 더 높은 가치를 부여하고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실제로 많은 투자자들이 손실 기업들을 매도하지 않지만 추가매수 역시 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추가매수를 할 가치는 확신하지 못하지만 매도에 대해서는 심리적인 저항감을 느끼고 있기 때문입니다.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 손실상태지만 추가매수는 하고 싶지 않다면, 혹시 스스로가 '손실기피' 중이 아닌지 체크해봐야할 때가 아닌가 싶습니다.


한 주의 시작입니다. 즐거운 일주일이 되시길 기원합니다.




반응형

윌리엄 오닐이 쓴 "최고의 주식, 최적의 타이밍"에 나온 내용을 옮겨 적었습니다. 주식투자의 시금석으로 삼아야 겠습니다.


1. 두려움과 불신, 지식의 부족


최고의 주식들은 대부분 낯선 기업들이다. (상장한지 7~8년 밖에 안된 기업들이 많다.) 시어즈 백화점 제너럴 모터스와 같은 회사는 누구나 알지만 주식 시장에 매년 새로 상장되는 수백개의 기업들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 사실 이런 기업들이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새로운 제품을 만들어내고 새로운 기술과 혁신적인 경영 기법을 도입한다.


2. 주가 수익비율(PER)에 대한 환상


주식시장의 상식과도 같은 통설과는 반대로 최고의 주식들은 결코 주가 수익비율(PER)이 낮지 않다. 최고의 운동선수가 최고 연봉을 받듯이 최고의 주식들도 주가 수익비율(PER)이 가장 높다. 주가 수익비율을 잣대로 해서 매수 대상 주식을 선정한다면 절대 최고의 주식을 살 수 없을 것이다.


3. 진정한 시장 주도주는 신저가가 아닌 신고가 근처에서 거래량이 크게 늘어나면서 본격적인 상승을 시작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것 


일반 투자자들은 싸게 보이는 주식을 매수하기 좋아한다. 왜냐하면 몇 달 전에 봤던 것보다 주가가 많이 낮아졌기 때문이다. 그래서 떨어지고 있는데도 매수를 한다. 그러면서 아주 싸게 샀다고 좋아한다. 하지만 오르고 있는 주식을 매수해야 한다. 바닥 다지기를 끝내고 올바른 주가 패턴을 완성한 뒤 신고가를 이제 막 경신한 종목을 사야 한다.


4. 너무 빠른 매도, 너무 늦은 매도


이익이 난 주식은 너무 조급해서, 또 작은 이익이라도 빨리 실현하고 싶어서, 혹은 그동안 손해을 봤기 때문에 원금만 회복하면 된다는 심리로 너무나 빨리 판다. 반대로 작은 손해가 났을 때, 즉 손실폭이 8%를 넘지 않을 때 손절매를 하지 못하고 매도 시기를 놓쳐버리고 만다.




반응형

윌리엄 오닐이 쓴 "최고의 주식, 최적의 타이밍"에 나온 내용을 옮겨 적었습니다. 새삼 주식투자의 기본이 무엇인지 생각하게 해주는 글입니다.


손실이 아주 적고 충분히 감수할 수 있는데도 어리석게 손절매 하지 않고 손실을 계속 키우는 것


대부분의 경우 싸게 빠져 나올 수 있다. 그러나 투자자도 역시 사람인지라 감정에 지배당하게 된다.  손실을 보고 싶지 않아서 기다리게 되고, 오르기를 바라게 되고, 그러다 보면 손실은 어느새 불어나 치명적인 수준에까지 이른다. 이것이야 말로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저지르는 실수 가운데 1순위로 꼽힐만하다. 


이런 실수를 저지르는 사람들은 모든 주식이 매우 투기적이며, 엄청난 위험을 안고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한다. 어떤 경우에도 손실은 짧게 끝내야만 한다. 나의 원칙은 매수 단가에 비해 7~8% 하락하면 반드시 즉시 손절매 한다는 것이다. 이 같은 간단한 원칙만 지켜도 당신은 투자의 세계에서 살아 남을 수 있으며 언젠가 찾아올 기회에 큰 재산을 벌 수 있다.


주가가 하락하는데 물타기 함으로써 비극적인 종말로 치닫는 것


주가가 떨어질때는 왠지 싸게 보인다. 불과 몇 달 전에 비해 싸졌기 때문이다. 내가 잘 아는 친구는 1981년 3월 인터내셔널 하베스터 주식을 19달러에 매수했다. 주가가 급락했기 때문이다. 그의 첫 주식투자는 이렇게 이뤄졌고, 그는 초심자 다운 실수를 저질렀다. 그는 연중 최저치에 근접한 가격에서 주식을 매수한 것이다. 나중에 밝혀졌듯이 이 회사는 당시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었고 파산을 향해 치닫고 있는 상태였다. 


1999년말 내가 아는 한 젊은 부인이 제록스의 주식을 샀다. 당시 제록스 주가는 갑자기 폭락해 신저가인 34달러까지 떨어졌고 정말 싸게 보였다. 1년 후 제록스 주가는 6달러까지 떨어졌다. 왜 떨어지는 칼날을 손으로 잡으려 덤비는가?


평균 매입단가를 높이기보다 낮추는 것


어떤 주식을 40달러에 1주 산 다음 30달러에 또 1주를 산다면 평균 매입단가는 35달러가 된다. 하지만 이렇게 함으로써 손실을 보는 주식은 더욱 늘어나게 되고, 귀중한 돈을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 같은 아마추어 전략은 결국 심각한 손실로 귀결되고, 단 몇 차례의 실수만으로도 당신의 포트폴리오는 거덜나게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