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창한 하늘 아래

펀드의 수수료는 비싸다고 좋은 운용성과가 좋다고 할 수는 없다. 오히려 수수료가 저렴할수록 좋다. 각 펀드별로 수수료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수수료가 얼마가 부과되는지 꼭 확인이 필요하다. 


수수료 중 펀드 투자자에게 가장 혼동스러운 것이 기준가격에 이미 반영되어 있어 별도의 현금지급이 필요없는 간접적인 비용과 투자자가 직접 부담하는 비용의 차이일 것이다. 


1. 기준가격에 이미 반영되어 있는 비용


우선 간접적 비용이라고 표현한 것들은 펀드 기준가격을 산정할 때 "비용"이라는 부분으로 이미 공제된 것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투자자가 별도비용을 지출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다만 비용이 커지면 커질수록 기준가격은 낮아지기 때문에 결론적으로는 수익이 줄어드는 결과를 낳게 된다.


이 비용을 구성하는 항목으로는 투자신탁보수, 신탁재산 운용비용, 성과보수 등을 들 수 있다.


- 투자신탁보수 


신탁재산에서 공제하는 비용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비용이 바로 이 투자신탁보수인데, 이는 다시 세가지로 나누어 진다. 

 

운용을 담당하는 운용회사에 지급하는 운용회사보수, 판매를 담당하는 판매회사에 지급하는 판매회사보수, 신탁재산을 보관관리하는 수탁회사에게 지급하는 수탁회사보수이다. (뮤추얼 펀드의 경우 이외 사무수탁수수료가  존재한다. 운용을 담당하는 운용회사의 경우에 회계 등의 일반 사무업무를 병행하는 경우도 있지만, 보다 전문성을 기하기 위하여 이와 같은 업무만을 담당하는 일반사무수탁회사에 위임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 일반사무수탁회사에 지불되는 수수료가 사무수탁수수료에 해당된다.)


이것들은 투자신탁재산의 운용,판매,보관에 따른 비용으로 지급되는 것으로 펀드의 성과가 좋건 나쁜건에 상관없이 일정비율(보수율)로 지급된다.


아래는 표준약관에서 정하고 있는 투자신탁보수이다. 위탁회사보수와 판매회사보수는 아래 표의 금액을 한도로 위탁회사와 판매회사가 협의,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고, 수탁회사보수는 위탁회사와 수탁회사가 협의하여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익증권의 경우 운용수수료, 판매수수료, 수탁수수료 등 총수수료는 통상 채권형이 약 1~1.5%, 주식형이 약 1.5%~3% 정도이며, 뮤추얼 펀드의 경우는 운용수수료, 판매수수료, 수탁수수료, 일반사무수탁수수료등이 있으며 채권형인 경우 약 1%~1.5% 주식형의 경우 1.5~3% 정도가 된다.


 채권형  운용회사보수 : 신탁재산 순자산총액의 연 1.0% 이하
 판매회사보수 : 신탁재산 순자산총액의 연 2.5% 이하
 수탁회사보수 : 보통 신탁재산 순자산총액의 연 0.05% 수준
        계           신탁재산 순자산총액의 연 3.55% 이하
 혼합형  운용회사보수 : 신탁재산 순자산총액의 연 1.25% 이하
 판매회사보수 : 신탁재산 순자산총액의 연 2.75% 이하
 수탁회사보수 : 보통 신탁재산 순자산총액의 연 0.05% 수준
        계         : 신탁재산 순자산총액의 연 4.05% 이하
 주식형  운용회사보수 : 신탁재산 순자산총액의 연 1.5% 이하
 판매회사보수 : 신탁재산 순자산총액의 연 3.0% 이하
 수탁회사보수 : 보통 신탁재산 순자산총액의 연 0.05% 수준
        계          :신탁재산 순자산총액의 연 4.55% 이하


- 신탁재산 운용비용  


이 비용은 투자신탁재산의 운용에 소요되는 비용으로 유가증권의 매매수수료, 차입금의 이자, 투자신탁재산에 관한 소송비용, 투자신탁의 외부회계감사비용, 유가증권예탁비용등이 있다.


- 성과보수 


성과보수는 목표수익률을 정해놓고 이 목표수익률을 상회하는 운용성과가 있을 때 달성한 수익의 일정부분을 공제하는 것이다. 성과보수는 기준가격 산정시 미리 공제하는 경우도 있고, 성과보수 부분만큼이 포함된 기준가격에 달성하면 펀드를 해지하고 공제하는 경우도 있다. 


2. 개별 투자자가 별도로 부담해야 하는 비용


이 부분의 가장 대표적인 것이 환매수수료와 세금이다. 


- 환매수수료는 펀드투자시 약속한 계약기간을 위반하여 중도환매를 할 때 물게되는 수수료를 말한다. 이것은 수익증권의 환매를 억제함으로써 펀드의 운용에 안정을 기하고 환매에 따른 사무처리비용등을 충당하기 위한 것으로 일종의 벌과금의 성격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수익증권 환매수수료는 이익금이 있는 경우에만 이중 일정부분을 공제하고 있다. 


- 세금은 그리고 또 한가지 소득이 있는 곳이면 어디든 존재하는 것으로 당연히 지불해야 하는 비용이다. 


펀드 투자자들은 펀드 투자시 발생한 금융소득에 대해 예금 투자에 적용되는 세율과 동일하게 15.4% (소득세 14%, 지방세 1.4%)의 세금을 납부하게 된다.

하지만 펀드는 모든 금융소득에 대해 세금을 납부하는 것은 아니다. 채권투자시 발생하는 이자소득과 자본이득, 주식배당소득은 과세대상에 포함되지만 주식 매매차익에 대해서는 과세가 되지 않습니다. 

보통 펀드는 주식에 투자하는 주식형과 채권에만 투자하는 채권형으로 나눌 수 있다. 채권형펀드의 경우 채권 등의 매매 차익과 이자수입에서 수익이 발생하기 때문에 모든 이익이 과표대상이 된다. 결국 기준가격 상승분만큼 과세표준이 되는 셈이다.

하지만 주식형펀드의 경우에는 다르다. 국내 투자 주식펀드와 역내 설정 해외투자펀드의 경우에는 주식매매차익에 대해 비과세 혜택을 주고 있다. 그러므로 이런 펀드들은 펀드의 기준가격과는 별개로 과세표준 기준가를 산출하고 있다. 

그렇다면 펀드의 세금은 언제 부과될까? 일반적으로 펀드에 대한 과세는 '환매'와 '결산'시에 이뤄진다. 원천징수 의무자인 펀드 판매사는 고객이 펀드에서 자금을 인출(환매)할때 혹은 결산시점에서 원천징수를 하게 된다.

※ 최근 정부가 추진중인 세제개편안에 따르면 2010년부터 공모펀드 내 주식 매매시 거래세 0.3%를 부과하고, 해외 투자펀드의 비과세 혜택을 폐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거래세 0.3%가 부과되면 주식매매 비율(회전율)이 높은 액티브 펀드는 1.04%, 회전율이 낮은 가치주펀드는 0.27% 수익율 하락을 예상하고 있다. 또한 해외펀드의 비과세 혜택이 사라지면 해외펀드에 대한 투자 매력이 낮아지게 된다.

세제개편안에 따른 투자 전략은 "(딸기아빠의 재무설계)2009년 세제개편안에 따른 금융재테크 전략" 기사를 참조하기 바란다.


내용 출처 : www.funddoctor.co.kr, fund2.moneta.co.kr




반응형

주식에는 주가가 있듯이, 펀드에는 가격이 있고 이것을 기준가격이라고 한다. 뮤추얼 펀드에서는 순자가치(NAV)를 기준가격이라고 하고, 수익증권에서는 그냥 기준가격이라고 한다. 그러나, 두 가지 모두 순자산 가치를 기초로 계산한다.

[뮤추얼 펀드와 수익증권의 기준가격]

   뮤추얼 펀드  수익증권
 기준가격  주당 순자산 가치  기준가격
 계산  주당 순자산가치 = (총 순자산가치-수수료)/펀드의 총 발행 주 수  기준가격 = (총 순자산가치 - 수수료/수익증권 잔존 수량) * 1,000좌 (1좌 = 1원)

□ 뮤추얼 펀드 순자산가치(NAV) 계산

뮤추얼 펀드의 기준가격은 주당 순자산 가치(Net Asset Value, NAV)이다. 뮤추얼 펀드의 총 순자산가치는 그 뮤추얼 펀드가 보유하고 있는 포트폴리오(주식, 채권, 기타 증권, 현금)의 가치라고 보면 된다. 따라서 주당 순자산 가치는 포트폴리오 가치를 뮤추얼 펀드의 총 주수로 나누어서 계산한다.

예를 들어 어떤 뮤추얼 펀드가 주식에 900만원을, 현금으로 100만원을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하면, 총 순자산 가치는 1,000만원 이고, 그 펀드가 5,000주를 발행했다면 이 펀드의 주당 순자산가치는 2,000원이다.

주당 순자산가치 = 포트폴리오 가치/펀드의 총 주수
= (9,000,000 + 1,000,000)원 / 5,000주 = 10,000,000원 / 5,000주 = 2,000원

□ 수익증권의 기준가격 계산

수익증권의 기준가격은 총 순자산가치(NAV)를 수익증권 잔존수량으로 나눈 후 1,000좌를 곱해준다. 1,000좌를 곱해주는 이유는 기준가격이 1,000좌당 얼마로 계산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어느 수익 증권이 처음 모집 당시에 총 자산이 100만원이었다면 1좌당 1원이므로 1,000,000좌가 발행되었다.  수익증권의 총 순자산가치 = 1,000,000원, 잔존수량 = 1,000,000좌이니까 기준가격은 1,000원이다. 즉, 1,000좌당 1,000원이라는 뜻이다.

그런데 총 순자산 가치는 시간에 따라서 변하기 때문에, 같은 100만원으로 수익증권을 사더라도 나중에는 99만좌 밖에는 사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런 경우는 기준가격이 (1,000,000/990,000)*1,000좌 = 1,010원으로 변한 경우이다. 또한 모든 수익증권의 기준가격이 1,000원에서 시작하는 것은 아니다. 기준가격의 시가가 5,000원인 경우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수익증권의 기준가는 1,000원에서 시작한다.)

순자산가치(NAV)는 펀드가 매일 얼마 만큼의 가치가 있는지를 말해주고 있으므로, 순자산가치(NAV)를 보면 투자자는 자신의 투자가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 주식과 펀드의 차이

- 주가는 거래일 중에 하루 종일 변하지만 펀드의 가격은 장이 종료될 때 한 번만 계산된다. 펀드를 매수하면 전날 종가의 순자산가치로 펀드를 사게 된다.

또한 펀드는 주식에 비해 투자하는 데 더 유연성이 있다. 예를 들어 주식은 삼성전자 50주, 현대자동차 100주 등 주 단위로 매수가 이루어진다. 삼성전자 주가가 70만원, 롯데칠성 주가가 100만원이라고 하면 두 종목의 주식을 1주씩 사는데 170만원이 있어야 한다. 즉 주가가 높을수록 현금이 부족한 투자자는 투자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펀드에 투자하면 삼성전자 0.5주 혹은 롯데칠성 0.5주도 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주식은 고정된 발행주식수가 있다. 발행 주식수를 조절하려면 기업은 증자를 통해서 주식수를 늘리거나 자사주 매입을 통해서 줄여야 한다. 반면 펀드의 주식수(수익증권 잔존 수량)은 정해놓은 제한이 없다. 펀드의 주식수는 그 날 투자자들이 얼마나 사고 팔았는가에 따라 매일 달라진다.

- 주식이 저평가되어 있는지를 알려면 현재주가를 추정 이익이나 현금흐름에서 계산된 적정가격과 비교한다. 하지만 펀드의 경우에는 순자산가치는 보유 종목의 현재가치에만 관계가 있다. 주식처럼 적정가격이란 개념이 없다.

 구분  주식  펀드
 가격 변동  하루종일 변동  장 종료될 때 한번만 변동
 매매단위  주  금액
 발행주식수  제한되어 있음  개방형 - 제한 없음.
 폐쇄형 - 제한 있음.
 적정주가  현재주가와 추정 이익, 현금흐름에서 계산된 적정가격과 비교  순자산가치는 보유 종목의 현재가치에만 관계가 있음. 따라서 주식처럼 적정가격이란 개념이 없음.

자료 출처 : fund2.moneta.co.kr



반응형

뮤추얼펀드는 증권투자회사를 일컫는 말로, 유가증권등에 투자하여 그 수익을 주주에게 배분할 목적으로 설립된 주식회사이다. 


뮤추얼펀드(증권투자회사)는 법인 자격을 부여받은 주식회사이지만, 보통의 회사와는 달리 사무실도 직원도 없는 서류상으로만 존재하는 ‘Paper company’이다. 따라서 자산운용회사, 판매회사, 일반사무수탁회사, 자산보관회사 등과 같은 여러 회사들이 업무를 분담함으로써 유지·운영된다.



 

회사별로 보면 판매회사(주로 증권사와 은행)는 뮤추얼펀드(증권투자회사)의 모집과 판매업무를 대행하며, 자산운용회사는 판매회사가 모집한 자금으로 유가증권등에 투자 운용하는 업무를, 일반사무수탁회사는 뮤추얼펀드(증권투자회사) 주식발행, 발행주식의 명의개서, 운용결과의 계산업무 등을 수행한다. 자산보관회사는 증권투자회사의 자산을 보관관리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이에 비해 수익증권은 판매와 운용이 엄격히 분리된 구조를 갖는다.



※ 뮤추얼 펀드와 수익증권의 비교


 구분  뮤추얼 펀드   수익증권
 투자자와의 관계  주주  수익자
 설립근거법  증권투자회사법  증권투자신탁업법
 설립형태  법인(주식회사)  신탁관계
 발행유가증권  주식  수익증권
 발행회사  증권투자회사(회사형 투자신탁)  투자신탁운용회사
 운용회사  투자신탁증권회사, 자산운용회사   투자신탁운용회사
 판매회사  투자신탁증권회사, 증권회사, 은행   투자신탁증권회사, 증권회사, 은행
 수탁회사  은행  은행
 기준가격(판매가격)  주당 순자산가치(NAV)  기준가격
 환매방법  투자자금 회수
개방형의 경우 투자자가 판매 회사를 통해 펀드에 대해 주식을 매도(감자를 통해 자금 마련후 지급)
 투자자가 판매 회사를 통해 주신운용사에 환매청구(펀드자산매각을 통해 자금 마련후 지급)

자료 출처 : www.funddoctor.co.kr, fund2.moneta.co.kr




반응형

펀드(Fund)의 원래 의미는 일정한 목적을 위해 여러 사람으로부터 모인 돈을 말한다. 쉽게 "○○○ 기금마련 콘서트"를 통해 마련된 기금은 ○○○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모인 돈이다. 이러한 돈이 펀드라고 보면 된다.


좀더 좁은 의미로 증권투자로 한정하여 펀드라는 개념을 살펴보면 


- 증권투자대행기관인 투자신탁운용회사나 자산운용회사가(운용회사)

- 유가증권등에의 투자를 목적으로 (펀드 존재 목적)

- 증권회사나 은행등을 통하여 (판매회사)

- 일반대중들로부터 자금을 모아 (펀드 가입자)

- 주식이나 채권, 파생상품 등에 분산투자하고 (투자대상)

- 투자로부터 발생하는 손익을 투자자의투자비율에 따라 배분하는(수익의 배분)


간접투자상품을 가리키는 말이다.



펀드 가입자로 부터 모인 돈으로 운용회사는 주식이나 채권, 파생상품 뿐만 아니라 금, 구리와 같은 원자재, 부동산, 비행기, 선박 같은 실물자산 등에 다양하게 투자하게 된다. 


이렇게 운용되는 모든 펀드는 그 운용 실적에 따라 이익이 나면 이익을, 손실이 나면 손실을 돌려주기 때문에 '실적배당형 상품'이라고 한다. 


통상 증권투자와 관련한 펀드는 증권투자신탁과 같은 개념으로 계약형투자신탁(수익증권)과 회사형투자신탁(뮤추얼펀드)로 나눌 수 있다.


※ 투자신탁 : 투자신탁이란 말 그대로 투자를 믿고 맡긴다 라는 말에서 나온 것이다. 즉, 내가 직접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나의 돈을 자산운용전문가에게 맡겨 나를 대신하여 투자하는 것이다. 투자신탁은 투자 대상에 따라 증권투자신탁, 부동산투자신탁, 상품투자신탁등 여러가지가 나뉜다. 


※ 계약형투자신탁 과 회사형투자신탁

투자신탁은 조직형태에 따라 크게 계약형과 회사형으로 나눌 수 있다. 우리나라는 계약형투자신탁은 수익증권, 회사형투자신탁은 뮤추얼펀드라고 부른다. 

계약형투자신탁은 법적으로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계약형투자신탁은 위탁자, 수탁자, 수익자의 3당사자 계약으로 이루어지고, 위탁자는 운용을 담당하는 투자신탁(운용)회사가, 수탁자는 신탁재산을 보관·관리하는 기관으로 주로 은행이, 수익자는 위탁자가 발행한 수익증권을 구입한 일반 투자자가 된다. 또 계약형투자신탁의 계약당사자는 아니지만 수익자에게 수익증권을 판매하는 판매회사가 존재하고 이렇게 4자의 관계에 의해서 형성된다.

반면 회사형투자신탁은 증권투자회사가 발행하는 주식을 구입하는 것으로써 투자자는 주주의 위치에 서게 된다. 회사형이란 펀드자체가 주식회사(증권투자회사)의 형태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고, 우리나라에서는 통상 이 증권투자회사 자체를 뮤추얼펀드라고 부릅니다. 

 구 분  계약형투자신탁(수익증권)  회사형투자신탁(뮤추얼펀드)
 설립형태  신탁계약에 의한 신탁관계  법인형태의 주식회사
 발행유가증권  수익증권  주식
 투자자의 법적 지위  수익자 (Beneficiary)  주주(Shareholder)
 펀드의 운용회사  투자신탁(운용)회사  투자신탁(운용)회사, 자산운용회사
 판매회사  투자신탁회사, 증권회사, 은행  투자신탁회사, 증권회사, 은행, 자산운용회사

자료출처 : www.funddoctor.co.kr


반응형

(Phil Town이 운영하는 블로그에 있는 내용을 번역한 것으로 아래 내용은  http://www.philtown.com/ 에서 발췌하였음을 밝힙니다.)


Rule #1 투자 관련한 몇가지 질문들이다. 보기 보다는 내용이 어렵다. (해석이 잘못된 곳을 지적해주시면 감사..) 


---------------------------------------------------------------------------------------------


왜 지금 투자하는 방법을 바꾸어야 하는가? 다른 사람들이 말하는 것처럼 단지 투자대상을 분산하고 장기적으로 보유하는 것이 왜 방법이 아닌가?


Why change the way I'm investing now? Why not just diversify and hold for the long term like everyone says?


Rule #1 투자는, 지난 100년간 주식시장이 '저위험' 분산 투자자들에게 37년 연속(1905-1942), 그 다음 18년간 (1965-1983), 그리고 현재 5년 연속(2000-2005) 배당금을 제외하고 단지 0%의 수익을 가져다 주었다는 것을 이해하기 위한 약간은 경고과도 같은 것이다. 100년 동안 60년이 그러했다.


It's a bit of a wake up call to understand that in the last 100 years the stock market has given a zero rate of return excluding dividends to diversified 'low risk' investors 37 years in a row (1905-1942), then 18 years in a row (1965-1983) and now 5 years in a row (2000-2005). That's 60 out of 100.


지난 100년 동안 시장이 반대로 흘러가지 않고 비정상적으로 상승기였다는 것을 고려해야 된다고 생각하지 않는가? 


Don't you think that should make us consider that it's the market run-ups that are unusual, not the other way around?


또한 지난 100년간에 이어, 대세 상승기 바로 다음에 장기 인덱스나 뮤추얼 펀드에 투자하는 것이 퇴직 후에 장기적인 경제적 공백의 해결 방법이 될 수 있지 않을까?


And doesn't it follow from that that long term index or mutual fund investing right after a big run-up might be a recipe for a long term hole in your retirement?


다음 20년간 0% 수익을 감당할 수 있는가?


Can you handle a zero rate of return for the next 20 years?


감당할 수 없다면, 당신의 경제적 미래를 시장에 맞겨 놓지 않고 스스로 설계해야 하지 않는가? 특히 투자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고 그 결과 돈을 잃지 않을 방법을 안다면?


If not, shouldn't you take control of your financial future instead of leaving it to the market? Especially if you can learn to invest so you know you won't lose money?


어떻게 당신이 돈을 잃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확신하는가?


How can you be certain you won't lose money?


그 질문에 답하는 것은 나를 한시간 이상 무대에 잡아 놓기에 (설명할 시간이 그만큼 필요하기에) 여기서 그것에 대해 완전히 답하지 않겠다. 다만 당신이 1달러 짜리 물건을 50센트에 살 수 있다면 당신은 확실히 돈을 버는 것이다 라고만 말하고 싶다. 중요한 것은 당신이 사고자 하는 물건의 가치를 확실하게 고정시켜 놓는 것이다. 그러나 그 가치를 고정시킬 수 없다면 그 물건을 사지 마라. 당신은 그 가치를 잘 모르는 중고차를 사지 않을 것이다. 안 그런가? 적어도 정답책을 주의깊게 읽어봐야지 않는가?


Answering that question takes me about an hour on stage so I won't try to answer it completely here except to say that if you can buy a dollar of value for fifty cents then you are certain to make money. The key is to nail the value of the thing you want to buy. And if you can't nail down the value, then don't buy it. You wouldn't buy a used car you didn't know the value of, would you? Wouldn't you at least look at the blue book?




반응형

What is a Mutual Fund?

투자2007. 6. 13. 20:35

Recently I'm interested in a Mutual Fund. I'm going to gather articles about the funds from now. First, I found an article about what is fund at Yahoo.com.

What is a Mutual Fund? by

Vanguard Group at Yahoo.com

The idea behind a mutual fund is simple: Many people pool their money in a fund, which invests in various securities. Each investor shares proportionately in the fund's investment returns -- the income (dividends or interest) paid on the securities and any capital gains or losses caused by sales of securities the fund holds.

Every mutual fund has a manager, also called an investment adviser, who directs the fund's investments according to the fund's objective, such as long-term growth, high current income, or stability of principal. Depending on its objective, a fund may invest in stocks, bonds, cash investments, or a combination of these financial assets.


뮤추얼 펀드에 대한 아이디어는 간단하다. 많은 수 사람들이 펀드에 돈을 모아서 그 돈으로 여러 주식들에 투자하는 것이다. 각 투자자들은 투자한 비율 만큼 투자 수익을 나눠 갖는다. 투자 수익에는 주식투자와 자본취득에 따른  배당금이나 이자가 있으며 펀드가 보유한 주식을 판매하는데 소용되는 비용도 있다.

모든 뮤추얼 펀드는 매니저가 있으며 투자 자문가가 있어서 장기성장, 높은 수익, 원금의 안정성 등 펀드의 목적에 맞도록 펀드 투자를 지도하고 있다. 펀드의 목적에 따라서 펀드는 주식, 채권, 현금 또는 이러한 금융자산의 혼합형태에 투자를 한다.




반응형